일부 시장 상인들 ‘한숨’
인천시 서구 정서진 중앙시장에서 청과물을 파는 A씨는 “인천시의 지원이 끊겨 배송 비용을 상인이 부담하면 물건값이 오르기 마련이고, 결국 대형마트와의 경쟁에서 뒤처지게 된다”며 “무슨 때만 되면 대통령, 국회의원, 예비후보 등 정치인이 민생 탐방을 한답시고 전통시장을 찾곤 하는데 그런 것보다는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이 간절하다”고 토로했다.
부평구 부평깡 시장에서 과일상을 하는 B씨는 “전통시장은 주차장이 멀고 협소해 무거운 짐을 들고가는 것을 꺼리는 소비자들이 많다”며 “오토바이로 배송하려면 한 번에 2천~3천 원을 내야 하는데 부담이 크다”고 하소연했다.
전통시장을 활성화한다는 인천시가 올해 전통시장 무료배송 지원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14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지원을 받아 오던 전통시장 8곳 중 모래내, 정서진 중앙, 용현, 부평깡 시장 등 4곳은 시의 지원이 끊기면서 무료배송이 중단됐다.
이 때문에 전통시장 상인들은 “질 좋고, 값싼 물건을 사려는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을 처지에 놓였다”며 우려하고 있다.
인천지역 전통시장은 63곳에 달한다. 시는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일환으로 무료배송 지원사업을 시행해 왔다. 교통, 주차 등 접근성이 떨어지는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전통시장이 자생할 수 있을 때까지 무료배송에 드는 비용을 지원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올해 무료배송 인건비 지원 예산 1억 5천만 원을 모두 삭감했다. 그동안 무료배송 인건비를 지원받아 온 가좌, 신기, 송현, 병방시장 등 4곳은 올해 다행히 국비 지원을 받게 됐지만, 나머지 4곳의 전통시장은 올해부터 지원이 중단돼 배송 비용을 모두 상인이 부담해야 할 처지다.
재정이 어려워 어쩔 수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는 시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특수시책 사업을 모두 비예산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때문에 1시장 1기업 자매결연 사업의 실적은 지금까지 한 건도 없다.
시 관계자는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에 밀려 무료배송 지원사업 예산이 삭감됐다”며 “1시장 1기업 자매결연 사업도 지난해 확정할 계획이었지만, 여의치 않아 오는 3월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민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