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예산 삭감 ‘무료배송 올스톱’… 전통시장 활성화 ‘공염불’

일부 시장 상인들 ‘한숨’

인천시 서구 정서진 중앙시장에서 청과물을 파는 A씨는 “인천시의 지원이 끊겨 배송 비용을 상인이 부담하면 물건값이 오르기 마련이고, 결국 대형마트와의 경쟁에서 뒤처지게 된다”며 “무슨 때만 되면 대통령, 국회의원, 예비후보 등 정치인이 민생 탐방을 한답시고 전통시장을 찾곤 하는데 그런 것보다는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이 간절하다”고 토로했다.

 

부평구 부평깡 시장에서 과일상을 하는 B씨는 “전통시장은 주차장이 멀고 협소해 무거운 짐을 들고가는 것을 꺼리는 소비자들이 많다”며 “오토바이로 배송하려면 한 번에 2천~3천 원을 내야 하는데 부담이 크다”고 하소연했다.

 

전통시장을 활성화한다는 인천시가 올해 전통시장 무료배송 지원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14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지원을 받아 오던 전통시장 8곳 중 모래내, 정서진 중앙, 용현, 부평깡 시장 등 4곳은 시의 지원이 끊기면서 무료배송이 중단됐다.

 

이 때문에 전통시장 상인들은 “질 좋고, 값싼 물건을 사려는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을 처지에 놓였다”며 우려하고 있다.

 

인천지역 전통시장은 63곳에 달한다. 시는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일환으로 무료배송 지원사업을 시행해 왔다. 교통, 주차 등 접근성이 떨어지는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전통시장이 자생할 수 있을 때까지 무료배송에 드는 비용을 지원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올해 무료배송 인건비 지원 예산 1억 5천만 원을 모두 삭감했다. 그동안 무료배송 인건비를 지원받아 온 가좌, 신기, 송현, 병방시장 등 4곳은 올해 다행히 국비 지원을 받게 됐지만, 나머지 4곳의 전통시장은 올해부터 지원이 중단돼 배송 비용을 모두 상인이 부담해야 할 처지다.

 

재정이 어려워 어쩔 수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는 시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특수시책 사업을 모두 비예산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때문에 1시장 1기업 자매결연 사업의 실적은 지금까지 한 건도 없다.

 

시 관계자는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에 밀려 무료배송 지원사업 예산이 삭감됐다”며 “1시장 1기업 자매결연 사업도 지난해 확정할 계획이었지만, 여의치 않아 오는 3월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민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