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北에 근본적인 책임”… 野 “강대강 대결 상황 악화”

개성공단 사태 입장차  
새누리 “자산동결 조치 유감… 국제사회 웃음거리 될 것”
더민주 “남북대화 통로 차단… 긴장 고조 행위 중단해야”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는 정부의 개성공단 중단 결정에 따른 대응격으로 북한이 11일 개성공단을 군사통제구역으로 선포하고 남측 인원을 전원 추방한 데 대해 공통적으로 유감의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이번 공단 폐쇄의 근본책임이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고 지적한 반면 야권은 남북 양측 모두 상황을 악화시키는 강경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해 온도차를 보였다.

 

새누리당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후 구두논평을 통해 “북한이 강수를 둠으로써 현 상황에서 주도권을 잡아보겠다는 뜻으로 보인다”면서 “입주 기업들의 자산 동결이란 카드를 들고 나온 북한은 국제사회의 웃음거리가 될 수 있다는 걸 명심하고 개성공단 중단에 따른 합리적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정부에 대해 “입주기업의 인원들이 무사히 입경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의진 대변인도 구두논평에서 “지금 북한이 개성공단의 모든 자산을 전면 동결키로 한 건 유감”이라면서 “남북평화의 상징인 개성공단이 폐쇄된 데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도 “남북 양측이 강대강으로 치달으면서 특히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되는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원내대표가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민주 김성수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북한은 개성공단지구를 군사통제구역으로 선포하고 남북 사이의 군통신과 판문점 연락통로를 폐쇄해 개성공단이라는 남북 간의 완충지역이 사라진 것은 물론이고 남북 간의 접촉과 대화를 위한 모든 통로가 차단됐다”며 “어렵게 쌓아올린 신뢰와 협력의 기반을 무너뜨리고 대화의 길조차 막은 채 남북이 냉전시대의 군사적 대결 상황으로 완전히 돌아간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사태는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로 비롯됐다는 점을 지적하며 북한 당국은 긴장을 초래하는 모든 행동을 중단하라”면서 정부에 대해서는 “남북의 강대강 대결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국민의당은 최원식 대변인은 “북한 당국이 개성공단 폐쇄와 남측 인원 추방, 남측 개성공단 자산 동결 등을 발표한 것은 정부가 어제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결정을 발표한데 따른 예고된 수순”이라며 “남북 교류협력의 마지막 보루가 무너지게 돼 안타깝다. 개성공단 가동 중단이 ‘신냉전’으로 비화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국민의당은 “북한 당국도 한반도의 긴장을 격화시키는 일체의 행동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우리 측 인원의 안전하고 신속한 철수와 자재 및 제품의 온전한 반출이 가능하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재민ㆍ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