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안정자금 긴급 수혈·각종 혜택… 피해 최소화

개성공단 폐쇄 쇼크 道, 입주기업 지원책 마련

제목 없음-2.jpg
▲ 11일 오전 서울 군인공제회관에서 열린 ‘개성공단관련 경기도 대책회의’에서 남경필 경기지사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정부의 개성공단 폐쇄조치와 관련, 입주기업 경영자금, 지방세 감면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11일 도북부청에 따르면 도는 북한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한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에 따른 공단 입주 도내 기업 지원대책을 추진한다.

 

도는 우선 기업의 경영안정화를 위해 도중소기업육성자금 특별경영자금 400억원 중 100억원을 경기신보를 통한 특례 보증 및 경영안정자금으로 지원한다.

자금은 업체당 20억원 한도(운전자금 5억원, 시설자금 15억원)이며 금리는 이자보전율 1.5%로 메르스특별경영자금과 같다. 보증비율은 90%이며 보증료는 0.2% 할인한다. 도는 지난 2013년 개성공단 입주기업 5개 업체에 특별경영안정자금 16억여원을 지원한 바 있다.

 

또 도의 각종 기업 지원 시책을 입주기업에 우선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도는 △입주기업 근로자 실업대책 및 지원 △지방세 감면 및 납기연장 △이전기업 대체 부지협조 △도 부가금ㆍ에너지요금 공과금 납부지연 △중기센터 마케팅 지원 등을 추진한다.

제목 없음-1.jpg
이와 함께 정부의 추가조치 및 지원대책을 모니터링, 도내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이밖에 도는 개성공단에 도내 38개 기업 50여명의 직원이 잔류 중인 것으로 추정하고 정부와 협력해 이들 기업의 안정적 철수와 조업중단에 따른 피해 최소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기업 인력 외에 개성공단에는 개성공단 부속의원에 근무 중인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3명)과 의정부성모병원(1명) 등 4명의 의료인력이 근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남경필 경기지사는 이날 서울 군인공제회관에서 개성공단 조업 중단에 따른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도내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요구 사항을 면밀히 파악하고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피해 기업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지금 우리가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개성공단에 남아있는 인력과 기업의 안전한 철수 문제인 만큼 앞으로 있을지 모르는 북한 도발에 대비해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며 상황을 주시해 달라”고 강조했다.

 

도는 지난 10일 정부의 개성공단 조업 전면중단 발표가 이뤄진 직후 양복완 행정2부지사를 실장으로 하는 대책상황실을 구축하고 통일부 상황대책반, 경기도 개성공단 기업협회 등과 연락체계를 마련했다. 

김창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