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 “우리지역 일꾼 아리송” 예비후보, 우왕좌왕 공약 실종
분구·합구 예상지역 혼란 심각 청라지역 어디로… 눈치 작전
인천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자 분구·합구 대상지역 예비후보자들이 우왕좌왕하며 공약도 내지 못하고 있다.
누가 우리 지역을 위해 일할 것인지 제대로 판단할 수 없는 유권자들은 ‘깜깜이 선거’를 걱정하고 있다.
예비후보들은 지난 12일부터 잠정적으로 선거운동이 허용됐지만, 지역 공약 제시보다 얼굴 알리기에 급급하다.
선거구가 확정되지 않은 탓에 섣불리 특정지역 공약을 내놓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분구·합구 대상지역 유권자들도 후보의 공약을 보고 판단할 수 없어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인천에서 혼란을 겪는 대표적인 곳은 서구 청라국제도시다.
서구·강화갑 지역은 인구가 34만 명을 넘어섰기 때문에 헌법재판소가 정한 인구 상한선 27만 8천 명을 맞추려면 7만 명가량이 빠져야 한다. 새누리당은 검암·경서·청라 1·2동을 서구·강화을로 보내고, 강화를 계양을로 합치는 방안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검암·경서·연희동을 을로 보내고 청라는 갑에 남아 있어야 인구 수가 비슷해지고 신·원도심 균형도 맞는다고 맞서고 있다.
서구지역 예비후보들은 표심이나 현안이 집중돼 있는 청라를 놓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공약을 내놓기도 애매하고, 포기하기에는 너무 아까운 지역이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예비후보들은 공약보다 얼굴 알리는데 혈안이 돼 있다. 지난 20일 청라 1동 주민센터 신청사 개청식에는 갑·을 지역 예비후보 8명이 앞다퉈 주민에게 명함을 돌리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서구·강화갑의 한 예비후보 캠프 관계자는 “청라 공약은 이미 준비했지만, 성급히 발표할 수가 없어 답답하다”고 말했다.
전통적으로 여당 강세를 보였던 강화지역 주민들도 불만이 커지고 있다. ‘강화가 계양을로 갈 것이다’, ‘중·동·옹진으로 붙는다’는 등 설왕설래가 난무하고 있고, 전·현직 정치인들은 각자 어떤 상황이 유리한지 주판알만 튕기고 있다.
하지만 강화를 어떻게 발전시키겠다는 공약은 쉽게 찾을 수가 없다. 주민들은 선거구가 어떻게 결정이 되든 ‘들러리 역할만 한다’는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
강화읍에 사는 한 주민은 “강화가 새누리 텃밭이라고 하지만 주민들은 지역을 위한 공약을 살펴보고 판단한다”며 “선거를 앞두고 여전히 홀대받는 분위기에 ‘이럴 거면 차라리 경기도 관할로 옮겨야 한다’는 말도 다시 흘러 나온다”고 한숨을 쉬었다.
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