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예산갈등 보육대란 우려 악순환 불안한 학부모들 어린이집 기피 확산
원아줄어 누리반 축소·교사 감원 검토 인천 상당수 어린이집 자구책 고민중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 문제가 보육교사의 고용불안으로 이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닌가요?”
인천의 A 어린이집은 최근 누리과정 연령(만 3~5세)의 신입생이 절반 이상 줄어든 것도 모자라, 기존에 있던 아이들마저 유치원으로 떠나면서 20명 정원의 누리과정 반 1개를 줄일 예정이다.
이는 인천시교육청과 인천시의회가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 편성 문제를 두고 갈등을 빚으면서 보육 대란을 우려한 부모들이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것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A 어린이집은 누리과정 반 축소와 더불어 담임교사 1명과 보조교사 1명 등 보육교사 2명을 감원하는 것에 대해서도 검토 중이다. A 어린이집 원장은 “그동안 함께 일한 보육교사 모두 지켜주고 싶지만, 운영 여건상 2명 정도는 내보내야 할 것 같다”며 “현재 상황처럼 원아들이 계속 줄어들면 보육교사 감원은 불가피한 일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마찬가지로 보육교사 감원을 계획 중인 B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들은 따가운 눈치 속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당장 누군가 일을 그만둬야 하는 상황에 예민해진 보육교사들 사이에서 최근 크고 작은 말다툼도 수차례 발생했다.
저마다 사정이 있어 쉽사리 일을 그만둘 수 없지만, 보육 대란에 대한 불안감의 여파로 보육교사들이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
B 어린이집 원장은 “감원 문제를 두고 어린이집 내 분위기가 상당히 좋지 않아 걱정이다”며 “규모가 작은 가정 어린이집 이외에 규모가 큰 어린이집 대부분 비슷한 문제를 겪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보육 대란 우려가 어린이집 기피 현상에 이어 보육교사의 고용불안 문제까지 일으키고 있다. 앞서 시교육청은 교육감의 부동의에도 지방자치법을 위반하며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 561억 원(6개월분)을 편성한 것에 대해 시의회에 재의를 요구했으며, 그 결과가 나올 때까지 관련 예산 집행을 거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미 지역 내 상당수 어린이집은 보육 대란을 우려한 원아 감소 탓에 누리과정 반 축소와 함께 보육교사를 감원하는 등의 자구책을 강구 중이다.
이와 관련, 인천어린이집연합회 관계자는 “누리과정 예산 문제에 따른 보육 대란 우려가 자연스럽게 보육교사의 고용불안으로 전파되고 있다”며 “정부가 됐든, 교육청이 됐든, 누군가가 나서 이 문제를 빨리 해결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