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예산이 투입되는 과학기술 관련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방안이 마련된다.
30일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에 따르면 시 단독 투자 및 중앙정부와 함께 추진하는 국비매칭사업에 적잖은 시 예산이 들어가고 있지만, 투자에 걸 맞는 지역발전 기여도를 이끌어내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 있지 않다.
인천TP는 이에 따라 지역사회에 파급 효과가 기대되는 사업에 대한 지원 강화 등 예산의 전략적 배분과 사업 간 연계를 통해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끌어내고자 ‘인천시 과학기술사업 사전검토제도’의 도입을 추진한다.
이 제도는 과학기술의 투자·관리를 전담하는 기관을 운용하는 것으로 관련 사업에 대한 사전검토 및 사후확인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를 최대한 높이려는 것이다.
현재 세부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인천TP는 시, 과학기술사업 평가기관, 인천과학기술진흥협의회 등 산학연관과의 의견 수렴을 거쳐 사전심의 대상범위, 절차, 평가 방식 등 최종안을 마련해 이르면 오는 2017년부터 시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인천TP 관계자는 “시의 과학기술진흥사업 사점검토를 통해 자체 사업 추진의 적절성에 대한 판단 및 향후 사업 추진방향의 의사결정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며 “시 재정 여건 상 한정된 예산으로 최대의 효과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래부의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2015년도 시행계획에 따르면 시의 지난해 지방비 과학기술투자 실적은 33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6위에 그친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