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할머니들 “합의 내용 부족… 소녀상 이전 절대 안돼”
28일 오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모여사는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은 한일외교장관 회담 내용을 듣고 찹찹한 모습이었다.
나눔의 집에 살고 있는 할머니 10명 가운데 6명은 휠체어와 지팡이에 의지해 TV를 통해 회담 결과를 지켜보는 내내 아무런 말도 하지 못했다. 한일회담과 관련해 아무런 정보도 얻지 못한 채 발표 내용만 바라보고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합의문 발표가 있은 직후 할머니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섭섭한 속내를 감추지 않았다.
유희남 할머니(88)는 “한일 정부가 합의점을 이끌낸 것에 대해서는 인정한다”면서도 “하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부족한 점이 많다. 돈이 문제가 아니다. 인간으로서의 권리와 명예를 회복해줘야 한다”고 아쉬움을 보였다.
이옥선 할머니(89)는 “일본은 할머니들의 문제를 해결할 생각이 있는지 모르겠다. 일본군은 우리를 찔러 죽이고 쏴죽이고 때려죽였다. 마땅이 사죄하고 법적 배상을 해야한다. 죽기전에 꼭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받아야겠다. 아니 우리가 죽어도 꼭 일본 정부의 사과를 받아야 한다”고 울분을 토했다.
회담 소식을 미리 전해들은 나눔의 집 안신권 소장 역시 “할머니들이 그토록 요구해온 일본 정부 차원의 공식 사죄와 법적 책임이 빠져 있다”고 섭섭함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이어 “회담 내용이 인도적 차원만 강조하고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은 교묘히 피해나간 것으로 밖에 평가할 수 없다”며 “인권문제와 법적·외교적 문제가 함축적으로 담겨진 내용이이어서 앞으로 관련단체와 생존해 계신 46분의 피해 할머니들이 모여 의견을 교환한 뒤 명확한 입장을 밝힐 것이다”고 전했다.
소녀상 이전과 관련해 안 소장은 “민간차원에서 전국민이 십시일반 모아서 설치한 상직적인 시설물이기 때문에 협의 대상이 아니다”며 “정부가 이전 요구를 수용해서는 안된다”고 잘라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