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조례 개정안 의결 주민 밀착 행정 서비스 기대
부천시 일반구 3곳이 전국에서 처음으로 내년 7월을 기해 모두 폐지되고 36개 동 주민자치센터 가운데 10곳이 행정복지센터로 전환된다.
부천시의회는 10일 제209회 본회의를 열고 ‘부천시 구 및 동의 명칭과 구역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안’을 의결했다. 구청장을 기초자치단체 시장이 임명하는 일반구의 폐지는 전국에서 처음이다. 폐지되는 3곳의 일반구는 원미·소사·오정구 3곳이다.
시는 시의회의 의결에 따라 내년 6월말까지 3개 일반구를 없애고 7월1일 10곳의 행정복지센터(일명 책임동 또는 광역동)를 출범한다. 앞서 행정자치부는 지난달 13일 부천시의 구 폐지와 행정복지센터 설립을 승인한 바 있다.
구의 행정사무였던 사회복지·청소·교통·안전·도시관리 등의 업무는 행정복지센터로 이관되며, 3개 구 공무원들도 10개 행정복지센터로 분산 재배치된다. 행정복지센터 10곳은 인구 7만∼10만 기준으로 기존 2∼5개 동 가운데 중심이 되는 동에 설치된다.
행정복지센터는 센터장(4급), 4명의 5급 과장, 50명 안팎의 직원으로 구성되며, 인구가 가장 많은 원미구에 5곳, 소사구 3곳, 오정구 2곳에 각각 설치된다. 행정복지센터 설립으로 10명의 센터장을 기존 구청장과 같은 4급 간부 공무공원이 맡게 돼 4급 간부 공무원 7명이 증가한다.
행정복지센터로 전환되지 않는 나머지 26개 동은 현재 업무를 그대로 수행하며 단계적으로 행정업무를 복지센터로 이관하고 주민 자치업무만 담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행정체계도 기존 시→구→동 주민자치센터의 3단계에서 시→동 2단계로 축소된다.
시는 시와 동 사이에 끼여 역할이 모호한 구청 공무원들을 일선 행정업무에 배치됨에 따라 행정의 효율성 제고는 물론이고 주민 밀착형 행정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만수 시장은 “구가 시와 동 주민자치센터에 끼여 역할이 애매하고 그러다보니 직원들의 역량이 발휘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구를 폐지하게 됐다”며 “주민에 더 가까이서 청소나 교통, 복지 업무를 신속하게 해결하고 행정효율성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부천=이승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