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당국회담.
남북 차관급 당국회담이 다음달 11일 개성에서 열린다.
남북은 지난 26일 판문점 북측지역인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 당국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을 통해 다음달 11일 개성공업지구에서 제1차 당국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남북은 이날 낮 12시50분부터 진행된 실무접촉을 통해 “회담대표단은 차관급을 수석대표로 해 각각 편리한 수의 인원들로 구성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남북은 회담 의제에 대해선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현안문제를 다루기로 합의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북 당국회담 개최를 위한 기타 실무적 문제들은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통해 협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남북은 차관급 당국회담 수석대표를 누가 맡고 어떤 의제를 다룰지 등을 확정하지 못해 갈등의 불씨를 남겼다.
남북은 27일 새벽에 발표한 공동보도문을 통해 제1차 남북당국회담의 대표단은 차관급을 수석대표로 양측이 편리한 수의 인원으로 구성하기로 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차관급 수석대표를 누구로 할지는 정하지 않았다. 향후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대표단 명단을 교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차관급 수석대표가 누구인지 적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갈등을 피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지난 2013년 6월 당국회담 실무접촉 때처럼 회담 장소와 시간 등은 합의해놓고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대표단 명단을 나누다 수석대표의 격(格)을 놓고 대립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남북은 당시 서울에서 1박2일 동안 장관급 당국회담을 열기로 의견을 모았으나, 이후 수석대표 격을 맞추지 못해 당국회담이 무산된 적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남측은 조평통 서기국장이 차관급 당국회담 대화 파트너로 예상되지만, 북측은 서기국 부국장을 수석대표로 제시할 가능성ㄷ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남측이 통일부 차관을 수석대표로 제시하면 북측은 책임 있는 청와대 차관급이 나와야 한다고 주장할 가능성도 있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