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교권’… 학교가는게 두려운 선생님들 ‘마음의 상처’ 치유 도와야

대전·광주시 심리치료까지 지원
인천, 법률자문·연수 진행에 그쳐

인천지역에 매년 100여 명의 교사가 학부모와 학생의 폭언·폭행으로 고통(본보 11일 자 7면)받고 있어 교권침해 피해 교사를 치유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17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교권침해 피해 교사에 대한 시교육청의 지원은 법률적 자문과 관련 연수 및 캠프 진행이 전부다.

 

이는 일부 다른 시·도교육청이 교권침해 피해 교사의 지속적인 심리치료를 위해 관계 기관과 협조 체계를 구축하거나 자체적으로 지원 기관을 설립하는 모습과 대조적이다.

 

대전시교육청은 지난 5월 Tee(Teacher education emotion) 센터를 설립하고, 상담전문가의 재능기부를 통해 교권침해 피해 교사의 상담과 심리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또 광주시교육청은 지역 내 병원과 MOU를 체결해 교권침해 발생 시 피해 교사가 가까운 병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전북도교육청은 전북상담학회 소속 상담전문가 및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전북지부 소속 의료진과 협력 체계를 구축해 피해 교사의 지속적인 심리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처럼 타지역은 교권침해 피해 교사를 위해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데 반해 인천지역 교권침해 피해 교사들은 제대로 된 심리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신질환에 걸렸다는 소문이 돌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병원 방문을 망설이는 교사도 있다.

 

인천지역의 한 중등교사는 “수년 전 학생에게 모욕적인 말을 들은 이후 우울증 증상을 겪고 있지만, 이러한 사실이 외부에 알려질까 두려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했다”며 “교권침해 피해 교사를 치유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권침해로 고통받는 교사를 위해 심리치료기관 등과 MOU 체결을 추진 중이다”며 “교육부도 이 문제에 대해 여러모로 고심을 하는 만큼, 교권침해 피해 교사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