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교육청, 자유학기제 준비 완벽해야 한다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을 목전에 두고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인천시교육청이 내년 전국 모든 중학교에서 시행되는 자유학기제에 대해 학부모와 학생·교사를 상대로 의견을 수렴한 결과 그 취지는 공감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며 우려했다. 시 교육청은 최근 부일여중 등 지역 내 중학교 28곳의 교사와 학생·학부모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확산 및 내실화를 위한 모니터링을 한 결과 이들 모두가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선 보완할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중학교 자유학기제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표적인 교육 공약이다.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한 학기를 중간·기말고사 등 지필 시험을 치지 않고 토론·실습수업과 진로·탐색 활동 등을 하는 교육과정이다. 지난 2013년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 2015년 2천300개교로 확대했고, 내년부터 전면 시행된다.

학생과 학부모가 오로지 대학입시만을 위해 초·중·고교 12년을 학과 수업에 매진하는 우리의 교육 현실에서 한 학기나마 시험의 굴레에서 벗어난다는 건 그 의미가 각별하다. 중학생이 한 학기 동안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장래를 설계하며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면 이보다 바람직한 일은 없을 거다. 하지만 이제도는 우리 교육 역사상 한 번도 시행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혁신적 실험일 수밖에 없다.

문제는 현재 우리 학교 여건에서 이런 좋은 정책 취지가 제대로 실현될 수 있겠냐는 우려다. 모니터링에 참여한 학생들은 예산이 확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체험학습 프로그램 이용자인 학생들의 부담이 줄어들어야 자유학기제가 확산될 수 있다고 했다. 또 교사들은 수업 준비와 체험학습 현장 인솔로 인한 업무 가중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학부모들은 학생들이 다양한 직업을 체험할 수 있게 체험학습처 확충을 주문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학생·학부모·교사 모두가 우려하는 건 학력 저하와 학생 간 학력 격차다. 특히 학부모들은 자녀의 성적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게 숨길 수 없는 현실이다. 학부모들은 한 학기 동안 자녀의 학업성적을 높이기 위해 자녀를 경쟁적으로 학원에 보내는 부작용도 예상된다. 사교육비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서울에선 약삭빠른 일부 학원이 이미 자유학기제 대비 강좌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자유학기제가 탁상공론의 정책에 그치지 않으려면 학부모와 학생들의 절실한 고민을 이해하고 그들의 우려를 불식시킬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