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창건 70주년 열병식
무력 과시보다 경축 분위기 중점 김정은, 核은 한차례도 언급 안해
북한이 10일 열린 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을 통해 무력과시보단 경축 분위기 조성에 더 중점을 뒀다는 분석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11일 북한 열병식에 대해 “최대 열병식임을 공언했음에도 불구하고 2012년보다 적은 수준의 장비가 동원됐다”고 말했다.
북한이 이번 열병식에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등 위협적인 무기도 열병식에 등장하지 않았다. 이번 열병식에는 300㎜방사포(종전 KN-09로 호칭)가 처음으로 선보였고 개량형 KN-08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모습을 드러냈다. 장비 규모면에서는 적은 수준이었던 것에 비해 병력은 2012년 김일성 생일 100돌 열병식보다 대규모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열병식에는 군 병력 2만여명, 군중은 10만여명이 동원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당국자는 “열병식에 신규종대 등 대규모 병력이 참여했고 각종 부대행사 개최로 군 사기진작 도모 및 축제 분위기를 조성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열병식의 경우 북한 내부 방송용과 외부에도 공개되는 방송을 차별화해 대외 이미지 관리를 염두에 두는 모습을 보였다.
내부용인 중앙방송(중방)과는 달리 대외적으로 보도되는 조선중앙TV에서는 자극적 용어를 자제한 것이다. 대외 공개를 염두에 두고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해석된다.
중앙TV 중계와는 달리, 중방 보도에서는 보다 과격하고 호전적인 표현을 방송했다. 중방 보도에서는 “연평도 도발자들에게 무자비한 불소나기로 힘있게 과시한 포병중대”, “서울과 대전, 부산으로 폭풍쳐 내달려” 등의 표현이 있었다.
김정은은 이번 열병식이 진행되는 동안 주석단에서 류윈산 중국 공산당 상무위원과 친밀하고 자연스러운 모습을 연출해 대외적으로 북중 우호관계 및 ‘국가리더’로서의 모습을 과시했다.
김정은은 열병식 대중연설에서 ‘인민’이라는 단어를 90여회 사용하는 등 총 25분 연설 시간의 대부분을 ‘인민사랑’ 강조에 할애했다.
연설 서두부터 ‘인민에 대한 깊은 감사’로 시작해서 ‘인민에 대한 멸사복무 다짐’으로 연설을 마무리했다. 이는 노동당의 인민제일주의에 방점을 둔 것으로, 내부 결속을 도모하면서 당 창건 행사 동원으로 인한 민심 이반 우려를 최소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김정은은 또 이번 연설에서 인민중시와 군사중시, 청년중시를 거듭 강조했다. 그는 청년중시사상으로 청년문제를 완벽히 해결한 청년대강국으로 위용을 떨치고 있다고 선전했다. 당 사업 전반에 인민 대중 제일주의를 철저히 구현, 일꾼들에게는 인민사랑으로 인민 앞에 무한히 겸손할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군 열병식임에도 불구하고 ‘핵’에 대한 언급이 한 차례도 없는 점도 눈길을 끌었다. ‘세계적 군사강국’, ‘불패의 군력’ 등 핵 무력을 시사하기는 했지만 전체 연설 중 핵이라는 단어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진 않았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