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임원 “관례일뿐 문제될 것 없다”
운동부 학부모 “눈치껏 성의표시 불가피”
제보 소극적… 시교육청, 퇴출 노력 한계
“자식에 대한 지나친 애정이 불법찬조금이라는 잘못된 학교 문화를 만듭니다.”
인천 A 고등학교 운동부의 한 학부모는 최근 감독에 대한 성과금을 만들고자 불법찬조금을 모았다. 해당 학부모는 전국대회 상위권 진출에 대한 감사의 표시였기에 불법찬조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문제를 묵인했다.
B 초등학교 학부모회의 한 임원은 불법찬조금 조성을 문제시 삼는 것에 불만이 많다. 스승의 날과 학교 행사에 학부모들이 성의를 표시하고자 돈을 모으는 것은 이미 관례가 된 지 오래기 때문이다.
해당 임원은 “이미 다른 학교도 다 저렇게 한다”며 “성의와 감사 표시이고, 대부분 학부모가 공감하는 일인데, 뭐가 문제인지 도통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최근 불법찬조금 의혹으로 시교육청의 감사를 받거나 처분을 받은 학교의 학부모이다.
이처럼 자식에 대한 비뚤어진 애정 때문에 여전히 지역에는 불법찬조금 논란이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불법찬조금은 학교운영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조성되는 돈으로 학교회계에 편입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 집단 촌지로 변질될 가능성이 크며, 참여하지 못한 학부모와 학생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줄 수 있어 교육계의 가장 큰 골칫거리로 꼽힌다.
최근 참교육학부모회 인천지부는 학부모 상담과정에서 파악된 6개 학교에 대해 불법찬조금 의혹을 제기했지만, 학교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는 상담받은 학부모들이 자식에게 피해가 갈 것을 우려해 애초부터 학교명을 공개하지 않거나 문제시 삼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다.
덩달아 제보를 받은 시교육청도 학교명을 알지 못해 관리·감독에 애를 먹고 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불법찬조금과 관련해 학부모에게 안내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문제가 계속 발생한다는 점에 대해 부정하기는 어렵다”며 “이 문제를 뿌리뽑을 수 있도록 불법찬조금에 대한 학부모의 올바른 인식과 신고가 절실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