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도서지역 학생의 통학을 돕는 통·폐합학교생활지원 사업을 축소하려 하자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30일 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지난 1990년대부터 도서지역 학생 수가 줄어 학교가 통·폐합되자 교육청은 장거리 통학 등 불편을 겪는 학생들을 위해 자취비용(생활비)과 통학비용으로 1인당 40만 원씩 지급하는 통·폐합학교생활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올해 초등학생 26명과 중학생 64명에게 10개월 동안 40만 원씩 총 3억 6천만 원을 지원한다.
그러나 시교육청은 내년부터 지원금 규모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통학버스 지원과 도선료 지원 등 타 지원 사업과 중복될 우려가 있는데다, 통학을 위해 내륙으로 나와 거주하는 학생들이 실제로 부모와 함께 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이유다.
시교육청은 무조건 1인당 40만 원씩 지급하던 것을 생활비와 통학비로 구분해 지원하고, 생활비는 두 번째 자녀부터 절반만 지급하며, 통학학생은 1인당 10만 원으로 통일시켰다.
이에 대해 학부모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자녀를 타지역 학교에 보내 자취시키는 부모의 경우 자녀가 2명일 때 당초 80만 원에서 60만 원으로, 3명이면 120만 원에서 80만 원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 자녀를 통학시키는 부모는 40만 원에서 고작 10만 원으로 대폭 감소한다.
한 주민은 “시교육청이 학교를 강제적으로 통·폐합시켜 눈물을 머금고 아이 둘을 학교 근처 월세방에서 자취시키고 있다”면서 “당장 내년부터 지원금을 줄이면 부모 부담만 가중되는데 이게 말이 되느냐. 원래대로 학교를 다시 운영해 아이들과 함께 살게 해달라”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애가 매일 배타고 다른 섬으로 다니며 장시간 통학하느라 고생하는데, 통학비 10만 원은 뱃삯도 안된다”면서 “그동안 지원금으로 방과 후 수업 등을 받아왔는데, 줄어든 지원금 규모만큼 부모의 금전적 부담으로 돌아온다”고 말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사업 전반에 대한 재검토 차원에서 변경(안)을 만든 뒤 학부모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일 뿐 확정된 것은 없는 상태”라며 “전문가 및 학부모들과 기존 지원을 유지할지, 변경할지 계속 협의해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김민·최성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