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도발→ 고위급 접촉→ 전력 대치→ 협상 타결… 긴박했던 무박 4일

남북이 무박 4일 43시간이라는 피 말리는 회담 끝에 전쟁 위기를 민간교류 활성화라는 ‘평화의 길’로 바꿔놓았다.

지난 20일 오후 연천에서 남북한 간 경고성 포격전이 벌어진 이래 한반도 정세는 급강하와 상승을 반복했다.

북한은 병력을 전진배치하며 22일 오후 5시까지 대북 심리전용 확성기를 철거하지 않으면 군사행동에 나서겠다는 최후통첩까지 나왔다. 우리 군은 북이 추가도발에 나설 경우 단호한 응징에 나서겠다고 맞받았다.

이런 가운데 북한 대남업무를 총괄하는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겸 대남비서는 21일 오후 4시께 21일 혹은 22일 판문점에서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1대 1 접촉을 갖자고 제의했다.

우리 측은 2시간 뒤인 오후 6시께 김 당 비서 대신 북한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 안보실장 간 접촉을 제의하는 수정 통지문을 북측에 전달했다.

이에 북측은 22일 오전 9시 35분께 북측 대표로 황 총정치국장과 김 당 비서가, 남측 대표로 김 안보실장과 홍 장관이 참여하는 2대 2 고위당국자 접촉을 하자며 재차 수정제의를 했고, 남측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한반도 위기의 극적 돌파구가 마련됐다.

이호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