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접촉 결렬 대비 추가도발 준비 작업 관측
남북 고위급 2차 접촉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북한군이 잠수함 등을 대거 기동하는 등 도발 징후를 보이면서 우리 군 역시 한 치의 물러섬 없이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군과 군사 전문가들은 남과 북 모두 전날부터 진행 중인 마라톤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자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북한군이 고위급 접촉 결렬에 대비, 추가도발에 나서기 위한 준비작업을 진행 중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23일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전체 잠수함 전력(77척) 중 70%인 50여척을 동·서해 잠수함 기지에서 이탈시켜 위치가 식별되지 않은 수중으로 기동시키고 있다. 또 최전방에 전개한 포병전력의 2배 이상을 사격 대기 상태로 전환했다.
이에 군 당국은 북한의 이중적인 행동이 실제 도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최고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북한군은 지난 20일 포격도발 때 사용한 76.2㎜ 평곡사포(직사화기)를 전진 배치하고 포병부대도 갱도에서 나와 사격 준비를 마친 상태다. 북한 포병전력이 대거 사격준비 태세로 전환함에 따라 우리 군도 최전방 지역에 130~131㎜ ‘구룡’ 다연장로켓 등 화력장비를 긴급 보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거리 23~36㎞의 구룡은 36발의 로켓탄을 장착해 단발, 연발 사격할 수 있는 포병전력이다. 군은 또 북한이 잠수함을 이용해 동·서해상을 초계하는 우리 함정을 타격할 가능성에 대비해 대잠헬기 링스를 탑재한 한국형 구축함과 호위함, P-3C를 추가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와 관련, 지난 22일 오전부터 잠수함 기지에 있는 각종 잠수함(정) 50여척을 동·서해 바닷속으로 전개했다. 이는 전체 잠수함 전력의 70%로 단일 출항 규모로는 한국전쟁 이후 최대수준이라고 군은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우리 군은 여러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교전이 벌어질 가능성까지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며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는 ‘신속·정확·충분’의 원칙으로 보복한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합동참모본부도 전날 한미연합사령부와 협의를 거쳐 대북 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을 ‘3’에서 ‘2’로 격상하고 북한군 동향을 정밀 감시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우리 군은 북한군의 움직임을 샅샅이 보고 있다”며 “거의 모든 움직임을 파악 중이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북한은 조선중앙방송과 평양방송을 통해 “긴 긴 세월 참고 참아온 복수의 응어리를 용암처럼 터치며(터뜨리며) 원쑤격멸의 성전에 우리 나섰다”며 “50년대 전화의 용사들이 공화국기 펄펄 날리며 남진의 길로 돋쳐 날려갔듯이 폭풍쳐 가리라 최후 성전의 길로”라고 역설했다. 이어 “반역의 패당들 멋모르고 선불질 한 망동의 종말이 얼마나 비참한가를 우리는 ‘오늘’에 결산하리라”라며 고위급 접촉에 남측이 적극 나설 것을 우회적으로 압박하기도 했다.
안영국기자
'일촉즉발' 남북관계 일자별 구성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