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제2의 도발.
북한의 제2의 (포격) 도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북 측이 서부전선 포격 도발 직후 우리 군에 대해 48시간 안으로 대북 확성기를 철거하지 않으면, 군사적 행동을 하겠다고 위협한데 이어, 전방 부대에 ‘준전시 상태’를 선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우리 군은 대북 확성기 방송을 계속한다는 방침이어서 극도의 군사적 긴장 상태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21일 “북한군이 후방에 있던 화력을 전방으로 이동 배치하는 정황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이때문에 북한군이 지난 20일 2차례에 걸친 포격 도발에 이어 제2의 포격을 준비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북한군은 포격 도발 직후 총참모부 명의로 국방부에 보낸 전통문에서 오는 22일 오후 5시까지 대북 확성기 방송 시설을 철거하라고 요구하며 이에 불응할 경우 ‘군사적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위협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 군은 북한군의 이같은 ‘최후통첩’에도 대북 확성기 방송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북한의 무력 도발을 용인하지 않는 강경 대응방침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우리 군은 포격 도발이 발생한 연천지역 부대에서 이날 새벽 1∼5시에도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실시했다.
군이 야간에 대북 확성기 방송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밤에는 음향이 멀리 전파되는 등 효과가 커 지난 10일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이후 야간에도 확성기를 가동했다.
군은 이날 오후 2∼6시에도 대북 확성기 방송을 할 것이라고 예고한 상태다.
군 관계자는 “대북 확성기 방송은 그대로 계속 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북한군이 대북 확성기 방송 시설 철거 시한으로 제시한 오는 22일 오후 5시가 추가 도발의 첫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군이 군사적 행동을 위협하고 준전시상태까지 선포했지만 실제로 제2의 도발을 감행할지는 미지수다.
군 관계자는 “우리 군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북한군의 도발 가능성에 대응할 만반의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