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국방 “추가 조치도 실시” 국방위, 단호대응 촉구 결의안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12일 최근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매설로 우리 군 장병들이 부상한 것과 관련, 전선에 있는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적으로 확대하고 추가 조치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보고에서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이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가 혹독한 대가의 전부냐’라는 질문에 “전부라 말하지 않고 우선적인 조치라고 답변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앞으로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하는 추가 조치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추가 조치를 생각하고 있다. 그렇게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다만 ‘추가 조치를 결정했느냐’는 질문에 “검토와 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시기와 방법, 내용 등에 대해 이 자리에서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의 한 소식통은 이날 “오늘 현재까지 서부·중부·동부전선 등 4개 지역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하고 있다”면서 “곧 모든 전선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군은 지난 10일 파주와 연천지역 2곳서 확성기 방송을 11년 만에 재개한 데 이어 전날 강원도 화천 등 중·동부 지역 2곳에서 추가로 시행하고 있다.
대북 확성기 방송 장비는 155마일 군사분계선(MDL)에 11곳이 설치돼 있다. 방송은 지난 2010년 5월24일 재개한 대북 심리전 방송인 ‘자유의 소리 방송’과 같은 내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는 북한의 DMZ 지뢰 도발을 규탄하고 우리 정부의 단호한 대응책을 주문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결의안은 북한의 DMZ 지뢰매설 행위에 대해 ‘우리 군의 살상을 기도한 명백한 군사도발 행위’로 규정하고 “결코 용납할 수 없으며 이 사태에 대해 북한은 즉각 사과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모든 책임은 북한에 있음을 밝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금번 도발행위에 대한 대한민국과 국제사회의 우려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이와 같은 도발행위가 재발하지 않도록 깊이 사과하고 관련 책임자를 처벌하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