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교류재단의 경영상태가 엉망이다. 국제교류재단의 방만한 운영은 이미 알려져 있어 어느 정도 짐작은 했지만 그래도 설마 했다. 인천시는 최근 국제교류재단 감사에서 혈세낭비 비리 14건을 적발했다. 감사 내용을 보면 부실·무책임 경영의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어 구조조정과 경영혁신의 필요성을 다시 절감케 한다. 그래서 국제교류재단이 신설될 인천관광공사에 흡수, 통폐합 대상이 된 것도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수긍하게 된다.
국제교류재단은 지난 2013년 6월 A사와 ‘인천 AG 청년서포터즈 4기 집중 양성교육 용역’ 계약(1억5천400만 원)을 입찰을 통해 체결하면서 엉터리로 했다. A사가 응찰 때 제출한 실적증명서 4건 중 2건은 발급기관 직인이 없는 개인 서명뿐인 문서였고, 나머지 2건은 A사가 멋대로 작성한 이른바 ‘셀프 문서’였다. 또 경영실태 보고서엔 재무제표가 빠졌다. 사실상 입찰참가 자격이 없는 업체가 응찰한 거다. 최종 선정과정에서 이런 사실을 담당 직원이 상관에게 보고했지만 묵살 당했다. “행사 일정이 촉박하니 A사와 계약하라”는 거였다.
수상쩍은 일은 계속됐다. 교육대상 1천 명의 10%가 개인 사정 등으로 불참하는 걸 알고도 A사에 용역비 축소 변경계약을 요구하지 않고 간과했다. 게다가 A사가 용역 후 제출하는 결과보고서를 제멋대로 ‘컨설팅 보고서’ 형태로 바꿔 1천500만 원을 추가 요구했는데도 이를 모른척하고 지급했다. 결국 시민의 혈세낭비다.
AG 청년서포터즈 5기 교육 용역 역시 계약 과정이 석연찮았다. 1·2차 모두 긴급입찰 공고기간 10일을 어기고 유찰시킨 후 입찰 고시 전부터 용역을 은근히 협의해온 B사와 수의계약 했다. 이 과정에서 기초금액 조정 없이 계약을 추진하는 바람에 법정 낙찰 하한율(87.745)을 적용하면 최저가격 1억 2천만 원에 계약이 가능한데도 1억 4천만 원에 계약, 차액만큼 손해 봤다. 위의 사례들은 예산을 공돈이라고 생각하고 합리적인 산정 없이 선심 쓰듯 업체의 요구를 받아들인 폐습의 결과다.
인사 난맥상도 드러냈다. 직제규정 개편 없이 특정인을 승진시키거나 자질이 부족한 인사를 고액 연봉 계약직으로 채용했다. 근무 내역이 없는 파견 직원에겐 350여만 원의 초과근무 수당을 지급하기도 했다. 결국 이 같은 부실경영이 구조조정 대상의 지름길이 된 셈이다. 자업자득이다. 부실경영 연루자들은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신설될 인천관광공사에 흡수된다 한들 더 이상 자리유지가 어렵고 자연 도태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