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 중재, 화주·하역사 합의 타 품목 정상화 요구 거셀듯
사상 초유의 하역 중단 사태(본보 4일 자 3면)까지 빚어졌던 인천항 원당 하역요금 정상화 갈등이 단계적 인상 합의로 봉합됐다.
5일 IPA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IPA에서 CJ 제일제당·TS 대한제당 등 화주 관계자, CJ 대한통운·동부익스프레스·영진공사 등 하역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원당 하역요금 인상 로드맵을 협의했다.
협의 결과 화주와 하역사는 IPA의 중재로 인천항 원당 하역요금을 단계별로 인상해 해양수산부 하역 요금표에 100% 충족하는 로드맵을 준수·이행키로 합의서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화주와 하역사는 현재 해수부 하역 요금표의 80% 수준인 인천항 원당 하역요금을 올해 85%로 인상하고, 매년 8월 2.5%씩 올려 2021년에 100%까지 인상키로 했다.
이날 하역 요금 인상화로 현재 진행 중인 철제, 사료 등 인천항의 주요 하역 품목에 대한 하역요금 정상화 요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천항보다 낮은 수준의 원당 하역요금을 지급 중인 군산 등 전국 다른 항만에도 ‘연쇄 인상 요구’가 확산될 전망이다.
IPA 관계자는 “투명하고 현실적인 항만 하역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화주와 하역사간 중재에 나선 결과 성공적인 로드맵 합의에 이르렀다”며 “원당 하역요금이 현실화되는 만큼 다른 하역요금도 무난히 현실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항운노조는 지난해 7월 경쟁 항만으로의 물량 이전 등으로 업체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원당 하역요금이 해수부 하역 요금표의 절반 이하로 떨어지자 화주들에게 수차례 하역료 덤핑 근절을 요구하다 급기야 지난 1일 원당 하역 작업을 거부했었다.
박용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