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넘게 표류 목감천 치수계획 조속 추진을”

4대강 사업에 밀려 지지부진 홍수 때마다 침수 등 수해
광명동·구로구 주민안전 위협

광명지역 정치권이 정부에 시민의 젖줄인 목감천 치수계획의 조속한 수립을 촉구하고 나섰다.

4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서 목감천 종합치수계획이 2005년 수립됐지만, MB정부 4대강 사업에 밀려 시작도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십년째 홍수 때마다 광명시 광명동 주민들과 서울 구로구 개봉동 주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목감천 하류 일대는 지형상 상류에서 합쳐진 수량이 늘어나면 대규모 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취약한 여건을 갖고 있다. 지난 2001년 7월말 홍수로 구로구 개봉동과 광명시 광명동 일대의 30여만명이 수해를 입고, 지하철 7호선의 완전침수로 수도권의 교통이 마비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정부도 지난 2005년 안양천 유역종합치수계획을 통해 목감천 하류부 상습침수지역 피해방지를 위한 방수로 설치 계획을 수립했었다.

방수로 설치 사업은 당시 KDI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에서도 B/C(비용대비 편익 분석)가 4.83으로 나올 정도로 타당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MB정부 시절 4대강 정비사업이 진행되면서 우선순위에 밀려 10년이 넘도록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목감천 정비사업은 현재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진행중인 ‘안양천권역 하천기본계획 용역’이 완료되면 시행될 전망이다.

용역 결과에 따라 다소 변동의 여지는 있지만 광명시 과림동, 노온사동, 가학동 일원에 오는 2017년부터 2025년까지 총 사업비 4천839억원을 투입될 전망이며, 이를 위해서는 매년 500억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한 실정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백재현 의원(광명갑)은 “MB정부 때 B/C 1.065에 불과한 경인운하가 추진된 것에 비해 무려 사업효과가 5배가 더 높은 안양천·목감천 정비사업이 진행되지 않은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재해가 발생하면 무려 30여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게 되는 목감천 수해방지 대책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정부에 매년 500억원 정도의 사업비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지난 2005년 1월 방수로 설치를 포함한 안양천유역 종합치수계획을 수립한 뒤 목감천 방수로 대신 저류지 3개소 및 저수지 3개소 등을 신설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한 바 있다.

광명=김병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