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의료원 임금체불 위기 보고만 있을 건가

인천의료원이 휘청거리고 있다. 인천지역 유일의 지역 거점 공공병원으로 메르스 극복에 크게 기여한 인천의료원이 재정 악화로 직원 임금을 제때 지급 못할 최악의 상황에 처했다. 메르스 공포를 무릅쓰고 헌신한 의료진 등 직원들이 겪을 고통과 허탈감을 생각하면 안타까울 뿐이다. 인천시 등 관계당국의 실효적 대책이 시급하다.

만성 적자에 시달려온 인천의료원은 특히 이번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재정이 바닥나 다음달 20일 직원 450여명에게 지급될 기본급(25억 원)체불은 물론 9월 상여금(33억 원)도 지연 지급이 불가피한 상태다. 그동안 상여금을 10~20일가량 지연 지급해온 건 다반사였지만, 기본급을 제때 주지 못하는 사태는 지난해 9월 이후 두 번째다.

특히 지난해 9월 임금 체불은 한번만으로 끝났지만, 다음 달부터는 당분간 기본급 지연 지급이 계속될 전망이다. 임금이 유일한 생계 재원인 직원들에게 있어 임금은 자신과 가족의생명줄이나 다름없다. 이런 임금이 제때 나오지 않는 것만큼 고통스러운 일은 없다.

인천의료원의 고질적 재정난은 취약계층 진료 등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병원의 특성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착한 적자’ 누적에 있다. 그런데도 인천시가 매년 10억 원씩 지원하던 운영비 지원금이 수년째 동결돼 재정악화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메르스 사태로 환자가 크게 줄어 10억 원의 손해를 입었으나 복지부의 손실보상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그렇잖아도 매년 40~50억 원의 적자가 쌓여 누적 적자는 575억 원에 달하고 있다.

이 같은 경영악화는 공공의료의 질(質)저하와 의료 서비스의 약화를 초래하고 있다. 임금 체불이 잦은데다 민간 병원보다 임금이 20~30%나 낮아 전문 인력의 빈번한 유출이 큰 문제다. 2010년 20개 진료과목에 25명이던 전문의를 2013년 39명까지 늘렸으나 매년 전문의가 6~7명씩 들락거려 지금은 35명밖에 없다. 그나마 재활의학과와 이비인후과 등은 전문의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 간호사 이직 사태는 더 심각하다. 지속적 신규 채용에도 불구, 매년 40여명이 퇴직, 중견 간호사의 고갈로 일부 병동은 아예 가동을 못하고 있다. 한 대뿐인 구급차도 내구연한을 5년 넘긴데다 필수 장비를 갖추지 못해 운행 중단 상태다.

이런 상황에선 공공병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 이대로 둬선 안 된다. 경영정상화를 위해선 운영비 국고지원, 부채 탕감, 우수 인력 확보 방안 등을 속히 마련해야 한다. 물론 의료원 스스로도 경영혁신을 통한 자구책을 끊임없이 강구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