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학구역 바꾸면 ‘안전’ 보인다

[안전한 인천교육 통학길 안전부터] 하. 통학구역 재조정 시급

인천지역 초등학생이 안전한 등굣길을 만들려면 현행 통학구역 재조정과 함께 어린이 교통안전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발전연구원(인발연)은 최근 ‘미래형 인천교육여건 조성을 위한 연구’ 제2차 중간보고에서 지적한 학생 안전 부적합 통학구역 88곳 중 24곳이 통학구역 재조정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등 통학 안전성 관련 규정에 따라 학생들이 주간선도로나 보조간선도로를 횡단하지 않고 등교할 수 있도록 통학구역을 조정하고 개별 통학구역의 통학 안전성 평가, 인접 초교의 위치와 도로 형태 등을 고려한 통학구역 조정 가능성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통학구역 조정 가능성이 있는 학교 대상 인접 초교의 학생 수용능력 검토, 통학구역 가능성과 인접 학교 수용능력 확보를 통한 통학구역 조정 등의 단계를 거쳐 통학구역 재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석종수 인발연 연구위원은 “1.5㎞의 통학거리와 학교의 수용능력을 토대로 통학구역 설정이 이뤄지면서 일부 통학구역은 학생 안전에 적합하지 못한 상태로 구성되는 결과를 낳았다”며 “당장 물리적인 부분만을 고려해 통학구역을 조정한다면, 안전 부적합 통학구역 중 24곳은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접 학교의 수용능력을 추가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며 “최종 보고에는 인접 학교의 수용능력까지 고려한 통학구역 재조정 방안과 예상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통학구역 조정이 어려운 학교에 대해서는 스쿨존(초등학교나 유치원 근처에 지정하는 어린이보호구역)을 확대하는 등 어린이 교통안전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고종철 한국학부모안전협회 회장은 “학교 주변 큰 도로에 아이들의 안전과 관련된 안내판 등 기본적인 학생 교통안전 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통학구역 조정이 불가능한 학교는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스쿨존을 확대하거나 경고음이 있는 신호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학생 통학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의견을 내놨다.

이에 대해 김진철 시교육청 대변인은 “안전한 인천교육의 미래를 위해 인발연이 진행 중인 ‘미래형 인천교육여건 조성을 위한 연구’의 최종 보고가 나온다면, 관련 내용을 토대로 통학구역 재조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라며 “통학구역 조정뿐만 아니라 안전시설 확충과 통학 안전 교육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