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 조례안·출자동의안 논란속 시의회 문화복지위 원안 통과 위원들 “취지 공감… 용역 부실”
인천관광공사 설립 관련 조례안과 출자동의안이 찬·반 논란 끝에 인천시의회 소관 상임위를 통과했다.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는 6일 시 문화관광체육국이 제안한 ‘인천관광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과 ‘2015년도 인천관광공사 설립에 대한 출자동의안’을 원안대로 의결했다.
그러나 문복위는 출자동의안을 승인하면서 ‘관광공사 운영에 관한 용역보고서의 수익모델 분석에 비현실적인 내용이 많아 출범 전까지 담당부서가 의회와 전문가, 시민 등의 의견을 수렴·보완해 소관 상임위에 추가 보고할 것’을 부대의견으로 달았다.
상임위를 통과한 조례안과 출자안은 앞서 예산결산위원회에서 통과된 추경안과 함께 오는 14일 인천시의회 제225회 정례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최종 처리될 예정이다. 가결될 경우 인천관광공사는 오는 8월 출범한다.
문복위 위원들은 이날 대부분 관광공사 설립 취지엔 공감했으나, 관광공사 설립 타당성을 나타낸 용역이 부실하다고 질타했다.
조계자 의원은 “경상경비의 50% 이상을 경상수입으로 충당할 수 있어야 지방공기업 설립이 가능한데, 용역엔 항만면세점 수익 시점이 2017년부터라고 했다. 실제론 2018년 이후에나 영업할 수 있는 만큼, 1년치 수익이 비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한구 문복위원장은 “연구원들 경력을 보니 경상수지 타당성을 논할 전문가가 없었다”면서 “관광공사 사업 중 하나인 월미케이블카(길이 650m)의 사업성을 무려 2㎞에 달하는 통영케이블카와 비교했다. 용역엔 단순히 면세점 개점 시점의 오류만 있는 게 아니다”라며 용역을 수행한 5명의 연구원에 대한 자질 문제를 제기했다.
이와 관련, 김동빈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인천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가 점차 줄어들고 그들의 만족도도 낮아지고 있다”며 “관광 중복 업무 기관을 통폐합해 효율성을 올리면서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중국 관광객을 인천으로 유치할 컨트롤 타워 설립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관광공사 설립을 반대하는 인천참여예산네트워크 소속 시민들은 이날 출입이 통제된 의회 앞에서 상임위 방청권을 요구하며 집단 항의했다. 이 때문에 이한구 문복위원장은 시민단체 대표 2명에게 방청권을 허용하려 했으나, 불상사를 우려하는 노경수 시의회 의장과 1시간가량 실랑이 끝에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신동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