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수습 ‘발등의 불’ 국정개혁·국가혁신 과제
황교안 신임 국무총리가 우여곡절 끝에 국회 인준을 통과, 공식일정을 시작했다.
국회는 6월18일 본회의에서 황 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에 대해 무기명 투표를 실시, 재석 의원 278명 중 찬성 156표, 반대 120표, 무효 2표로 통과시켰다.
이로써 50대의 젊은 나이에 ‘국정 2인자’ 자리에 오른 그는 박근혜 대통령과 국정철학을 공유하는 총리로써 대통령의 국정개혁 의지를 제대로 추진, 국가혁신을 주도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됐다.
황 총리의 최우선 과제는 국민을 불안케 하고 있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해결이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도 “메르스 사태의 행정부 사령탑이 돼서 사태의 조기 해결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최우선적으로 당부했다. 아울러 ‘부정부패 척결’도 당면 과제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지난 5월21일 박 대통령이 법무장관을 맡고 있던 황 총리를 이완구 전 총리의 후임으로 내정했다고 발표하면서, “지금 우리의 현실은 경제 재도약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과거부터 지속돼 온 부정과 비리, 부패를 척결하고 정치개혁을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홍보수석은 이어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법무부장관으로 직무를 수행해 오면서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가 깊고, 사회 전반의 부정부패를 뿌리 뽑아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고 정치개혁을 이룰 수 있는 적임자”라고 황 총리 발탁이유를 설명했다.
또한 “조용하면서도 철저하고 단호한 업무스타일로 국정을 수행하는데 있어 현실적인 어려움과 난관을 해결하는데 적임자”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올해 초 4대(노동·공공·교육·금융) 구조개혁을 핵심개혁과제로 선정, 강력한 국정 쇄신을 추진해왔으나 성완종 파문이 터지면서 ‘부패 척결’을 외치던 현직 총리가 사퇴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따라서 황 총리의 당면 과제는 부정부패 척결이 될 전망이다.
또한 그는 총리 내정 소감에서 “경제활성화와 민생 안정을 이루고 ‘비정상의 정상화’ 등 나라의 기본을 바로잡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던 만큼, 나라의 기본을 바로잡기 위해 주춤하고 있는 4대 개혁과제 등 복잡다단한 국정과제를 풀어나가는 데 주안점을 둘 것으로 예상된다.
글=김재민기자 사진=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