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두바이 스마트시티社 업무협약
ICT·바이오·대학연구소 등 결합 청사진
조만간 특수목적법인 설립 등 ‘잰걸음’
고급 일자리 창출·국내경제 활성화 기대
인천시가 검단신도시를 첨단산업 및 교육 도시로 개발하는 ‘스마트시티 코리아’ 사업을 추진한다.
인천시는 29일 두바이 국영기업 스마트시티사와 스마트시티 코리아 건설과 관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유정복 인천시장과 자버 빈 하페즈(Jaber Bin Hafez) 스마트시티 CEO가 참석해 직접 서명했다.
업무협약엔 ‘첨단 기술 및 지식기반 기업, 국제 교육기관 유치’와 ‘인천시·스마트시티 협력관계 구축’, ‘일자리 창출을 통한 국내경제 활성화’, ‘모든 활동이 용이한 비즈니스 클러스터 조성’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인천시와 스마트시티 측은 협약에 따라 구체적인 투자규모 등을 확정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조만간 국내에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키로 했다.
스마트시티 사업은 정보통신기술(ICT)과 바이오 등 첨단산업, 대학 연구소 등 교육기능이 결합한 미래형 지식클러스터 도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앞서 지난 2003년 두바이에 조성된 ‘스마트시티 두바이’엔 마이크로소프트(MS)와 IBM 등 3천여 개 기업과 450여 개 글로벌 교육기관이 들어섰다. 스마트시티사는 이후 유럽 남부의 몰타공화국과 인도의 항구도시 코치에 각각 스마트시티 건설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한민국 인천은 스마트시티 측이 진출한 3번째 외국진출 지역이다.
하페스 스마트시티 CEO는 “인천은 뛰어난 투자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다. 또 인접 국가에 수억 명의 인구가 분포된 지리적 강점이 있다”면서 “한국 특히 인천 검단에 맞는 개발 컨셉을 조속히 마련하겠다. 구체적 사업방향이 나오면 즉시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MOU는 법률자문 과정을 거친 굉장히 실현 가능성이 큰 협약”이라며 “검단이 반드시 미래형 지식도시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 SPC 설립 등 후속조치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