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집하장 처리용량 한계따라 1-2 집하장으로 ‘쓰레기 분산’ 아파트 들어서면 이곳도 포화 근본대책 외면… 땜질식 처방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국제도시 내 쓰레기 자동집화시설의 쓰레기 처리용량 분산을 위해 추진 중인 ‘이송관로 신설ㆍ연결 공사’가 미봉책에 그치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현재 쓰레기 처리용량(1일 21t)이 포화상태인 관계로 악취민원 등이 발생하고 있는 1-1 집하장의 쓰레기 30%(6.3t)를 처리용량 여유가 있는 1-2 집하장(1일 처리용량 11t, 처리량 2~3t)으로 분산 시키는 ‘이송관로 신설·연결 공사’를 추진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인천경제청은 이 사업을 위해 1차 추가경정예산에 ‘이송관로 신설·연결 공사비’ 6억 원을 요청한 상태이다.
그러나 아파트와 국제병원 등 이용 계획시설이 아직 들어서지 않아 일시적으로 가동률이 낮은 1-2 집하장에 총 처리 용량(11t)의 60%에 달하는 6.3t의 쓰레기를 보내면 계획시설이 들어서는 수년 후에는 이곳 역시 포화상태가 불가피해 ‘돌려막기 식’ 미봉책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쓰레기 자동집화시설 내 ‘음식물 쓰레기 분리시설’의 활용 방안 모색과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줄이기 등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또 정확한 쓰레기 발생량을 재측정하고, 발생 쓰레기를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지적 등은 송도 쓰레기 자동집화시설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분리시설이 무용지물로 전락해 쓰레기 무게와 용량이 커지면서 쓰레기 용량 분산 문제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정창일 시의원은 “현재로선 집하장 수요예측은 무의미하다”면서 “땜질식의 방법으로 그칠 게 아니라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함께 이송하면서 발생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게 급선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동암 인천경제청 차장은 “각 가정의 음식물쓰레기 수분량을 줄이게 하던지 등 근본적 대안 마련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인천경제청이 요청한 추경예산 편성 여부는 22일 제225회 인천시의회 정례회 4차 산업경제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신동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