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병원 지정 무시하고 강제퇴원… 67명 대량 확산 불러

평택성모병원 ‘메르스 확산 사태’ 재구성
보건당국, 안일한 대응으로 ‘통제·방역’ 실패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들렀다가 수십명의 메르스 확진 환자를 발생시킨 ‘슈퍼감염자’ 14번 환자(35)는 당초 평택 성모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이었다.

그는 5월15일부터 17일까지 평택 성모병원에 입원을 했다가 1번 환자(68)로부터 메르스에 감염됐다.

퇴원 후 일주일 가량 일상생활을 하던 14번 환자는 5월25일 고열 등으로 평택 굿모닝병원에 재차 입원했다. 증세가 심해진 그는 27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찾았고 2주 후인 10일 현재 16명에게 직접 메르스를 전파한 것으로 드러났다. 삼성서울병원에서는 47명의 메르스 감염환자가 발생했다.

5월18일 평택 성모병원에서 퇴원하면서 보건당국의 통제를 벗어난 16번 환자(40)는 충청권으로 메르스를 전파시켰다. 5월22~28일 대청병원, 5월28~30일 건양대병원에서 추가 치료를 받으면서 각각의 병원에서 8명, 9명 등 모두 17명의 메르스 추가 확진자를 발생시켰다.

또 15번 환자(35)도 평택 성모병원을 거쳐 평택 굿모닝병원(5월25~27일)과 한림대동탄성심병원(5월29일)을 들렸고 4명에게 메르스를 전파했다.

전체 메르스 확진 환자 108명 중 이들 3명으로부터 직접 감염된 환자 수만 36명에 달한다.

이와 함께 평택 성모병원에서 5월27일 퇴원한 51번 환자(72·여)는 자가 격리 대상이었으나 아무런 통제도 받지 않고 고향인 전북 순창의 한 마을로 내려갔다. 51번 환자가 이 곳에서 이웃주민과 10여일동안 생활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이 마을은 통째로 격리됐다.

보건당국이 평택 성모병원에서 요구한 메르스 전담병원 지정 및 통제를 무시하고 일반 환자 등 60명을 강제로 퇴원(또는 이송) 조치하면서 메르스가 전국으로 확산(8일자 1면)됐다는 지적이 현실로 드러났다.

10일 질병관리본부 등 보건당국에 따르면 평택 성모병원에서 메르스에 감염된 확진자는 모두 35명(1·2번 환자 제외)으로 이중 일반 환자는 21명, 가족 등 방문자는 12명, 의료진은 2명이었다.

특히 평택 성모병원의 메르스 전담병원 지정 및 통제 요구를 무시하면서 각각 삼성서울병원, 건양대병원, 대청병원, 한림대동탄성심병원으로 이동해 치료를 받은 3명(14·15·16번)의 환자는 이들 병원에서 36명의 메르스 추가 환자를 발생시켰다. 보건당국의 안일한 대응이 메르스를 전국으로 확산시킨 것이다.

또 지난달 28일 보건당국에 의해 평택 성모병원에서 강제퇴원 및 이송조치된 60여명 중 메르스에 감염된 환자도 13명에 달했다.

27번 환자(55)와 29번 환자(77·여), 39번 환자(62), 40번 환자(24) 등은 자가 격리 후 타 병원 내원 또는 강제 이송 등으로 평택 굿모닝병원과 수원빈센트병원, 경기도립 수원의료원, 고양 명지병원, 서울중앙의료원, 동국대경주병원, 수원빈센트병원, 서울대병원 등으로 이동한 뒤 확진 판정을 받았다.

평택 성모병원 의료진 2명을 제외한 나머지 17명도 보건당국의 통제를 벗어나 자가 격리 또는 타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메르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메르스는 걷잡을 수 없이 전국으로 확산됐다.

최해영 안영국 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