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내 문학·원적산·만월산 터널 등의 민간사업자가 통행요금소 하이패스 도입을 하지 않아 시민이 불편을 겪고 있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교통처리능력 향상과 시민 편의 증진 등을 위해 인천을 비롯해 일선 지자체가 관리하는 유료도로의 통행요금소에 하이패스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하이패스 차로는 일반차로에 비해 교통처리능력이 4배 이상으로 대기시간을 최대 15분가량 단축할 수있는데다 요금소 운영비용을 연간 9억 원가량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정부는 최근 서울 우면산 터널과 대구 범안로, 대전 천변도로, 광주 제2순환도로 등 4곳의 유료도로에 이르면 올해 말부터 내년 6월까지 하이패스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문학 터널, 원적산 터널, 만월산 터널 등 인천지역 유료 터널은 하이패스 도입이 요원하다. 터널 민간사업자들이 시에 설치비용 부담 등을 요구하며 하이패스 도입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3개 터널에 하이패스 설치비용은 30억 원대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하이패스가 지난 2007년 도입된 탓에 그 이전에 개통된 유료도로의 실시협약에는 하이패스 설치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지 않아 하이패스 설치를 강제할 수가 없다. 문학터널은 지난 2002년 4월, 원적산 터널은 2004년 7월, 만월산 터널은 2005년 7월 각각 개통했다.
시는 지속적으로 민간사업자들과 하이패스 도입에 대해 협의하고 있지만, 설치비용 부담에 대한 합의는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시민의 불편 해소와 차량흐름 개선을 위해 하이패스 설치를 요구했지만, 사업자들이 계속해서 시의 지원만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현재 재정상황으로는 시비로 비용을 부담해주긴 어려워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