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천안호 폭침사건 공동조사 다시 제안…“5ㆍ24조치 해제해야”

북한 천안호 폭침사건 공동조사 제안

▲ 북한 천안호 폭침사건 공동조사 제안, 애쉬턴 카터 미 국방장관과 한민구 국방장관이 지난달 10일 오후 경기도 평택 해군 2함대 안보공원에 마련된 천안함 선체를 둘러본 뒤 숙연한 모습으로 서 있다.  연합뉴스

북한, 천안호 폭침사건 공동조사 또 제안…“이유는?”

북한이 천안함 폭침사건에 대한 남북 공동 조사를 다시 제안했다. 

천안함 폭침사건으로 한국 정부가 남북간 인적·경제 교류를 중단토록 한 ‘5·24조치’ 5주년을 맞은 24일 북한은 이같은 제안을 발표했다.  

북한 국방위원회는 이날 정책국 성명에서 “특등대결광인 이명박 역도가 5·24조치를 조작하고 북남관계를 최악의 대결국면에로 몰아넣은 때로부터 5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며 “5·24조치는 그 조작경위나 실행과정에 있어서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반민족적이고 반평화적이며 반통일적인 동족대결조치”라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은 “5ㆍ24조치는 날조된 천안호(천안함) 침몰 사건을 등대고 꾸며낸 대결조치이며 부당한 근거에 기초한 결과는 부당하기 마련”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만약 천안호 침몰사건이 우리(북)의 소행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 근거가 있다면 온 민족 앞에서, 세계 앞에서 내놓고 공동으로 조사해보자는 우리 요구에 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방위는 “더욱이 두 동강 난 천안호의 선체를 땅위에 올려놓은 것만큼 진상조사도 한결 더 수월할 것”이라며 “공동조사에 동원될 국방위원회의 검열단은 지금도 존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명은 또 “5ㆍ24 조치는 력사(역사)의 오물통에 처넣어야 할 정치적 음모의 산물”이라며 “‘선대화 후해제’라는 잠꼬대 같은 넋두리를 줴쳐대며 시간을 허송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남북관계가 복원되려면 5ㆍ24조치를 해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천안함 폭침사건은 북한의 소행이 아닌만큼, 5ㆍ24조치를 해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편, 정부는 천안함 폭침사건 발생 이후 미국·호주영국·스웨덴 전문가 24명과, 국내 12개 기관 73명의 전문가를 투입해 90여일간 조사했다.

국제 조사단은 2010년 3월 26일 밤 백령도 인근 해저에서 북한이 CHT-02D 어뢰로 천안함을 공격한 것으로 결론냈으며, 북한은 이 조사결과를 부인하고, 남북공동 재조사를 주장해 왔다. 

한국 정부는 이 결론으로 남북간 인적ㆍ경제적 교류를 중단하는 5ㆍ24조치를 시행했다. 

사진=북한 천안호 폭침사건 공동조사 제안, 애쉬턴 카터 미 국방장관과 한민구 국방장관이 10일 오후 경기도 평택 해군 2함대 안보공원에 마련된 천안함 선체를 둘러본 뒤 숙연한 모습으로 서 있다.  연합뉴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