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인천공항공사 ‘상생협력’ 총론엔 공감했지만…
市, 지분참여·옹진 북도 연륙교 지원 관련 현안 돌파구 마련 기회 희망
공사, 단독 협력사업 한계 ‘즉답회피’ 협약반대 천명 ‘국토부 눈치 보기’
인천시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상생협력을 위한 ‘새 판 짜기’에 나선다.
유정복 인천시장과 박완수 공항공사 사장 간의 첫 공식 만남을 계기로 산적한 인천지역 항공 현안을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14일 시에 따르면 최근 양 기관장 공식 만남을 계기로 시와 공항공사 간 상생협력 협의회 구성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시는 핵심 쟁점 사안인 인천공항 내 항공정비특화단지(MRO) 조성과 관련, 항공정비특화단지 조성을 통해 인천경제자유구역과 구도심 산업단지 연계 구상을 내놨다.
하지만, 국토교통부가 시와 공항공사 간 협약 체결에 반대 뜻을 내걸면서 지지부진한 상태다.
이 자리에서 공항공사 측은 시의 요구에 즉답하진 않았지만, 지역사회 발전에 함께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향후 해결 여지를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시는 지난 2013년부터 공항공사와 협의체 구성을 추진해왔다. 그러던 것이 지난해 6·4 지방선거에서 유 시장이 새로 취임한데다 공항공사의 대규모 조직개편 및 기관장 교체 등의 변화를 겪으면서 사실상 중단 상태에 놓였다.
이번 양 기관장의 만남을 계기로 시는 국장급 실무진이 참여하는 실무협의회 구성을 추진하고 나섰다.
실무협의회를 통해 시는 시-공항공사 간 상생협력 협의회 구성 및 공항 지분참여, 옹진군 북도면 연륙교 건설지원, 인천국제공항 도시명 표기 정정 등 항공산업 관련 현안을 해결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공사 지분 대부분을 국토부 등이 가진 상황에서 공항공사가 협력방안을 단독으로 시행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의 요구에 대해 공항공사 측이 결정할 사안도 있고 단독으로 결정하기 어려운 것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시와 공항공사가 인천지역 발전을 위해 서로 협력하겠다는 큰 틀의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현안 해결을 위한 실마리가 마련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