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관리체계가 불안하다. 지난 7일 인천 연수구 A중학교에서 학생 103명과 교사 4명 등 107명이 집단으로 결핵에 감염된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깜짝 놀란 이 학교는 지난 8일부터 오는 17일까지 임시 휴교에 들어간 상태다. 그럼에도 학부모와 인근 지역 주민들은 결핵위험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특히 학교와 교육당국의 결핵에 대한 문제인식 부족과 늑장 대응에 이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3월 30일부터 이 학교 3학년 학생 249명과 교사 6명 등 255명에 대한 결핵 감염 여부 조사에서 학생 9명이 결핵환자로 확진 판정됐다고 밝혔다. 또 교사 3명과 학생 92명 등 95명이 잠복결핵 감염자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감염됐으나 결핵균이 잠복해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론 타인에게 결핵균을 감염시키지 않지만 6개월 이상 꾸준한 약물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 학교의 집단 결핵 감염은 지난 3월 26일 3학년 한 학생(15)이 결핵 확진 판정을 받은 지 40여 일 만이다. 그 학생은 지난해 가을부터 발열과 기침 등의 증상이 있었는데도 치료를 늦게 받는 바람에 4~5개월 동안 다른 학생과 교사에게 감염시킨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공중보건행정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학교당국의 결핵에 대한 문제인식 부족과 방심이 감염을 확산시킨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지난 3월 24일은 정부가 지정한 결핵예방의 날이다. 그런데도 최초 발병 학생의 확진 확인 시점인 지난 3월 26일부터 107명이 전염된 것으로 확인된 지난 7일까지 시 교육청은 휴교 등 안전에 관한 모든 조치를 학교장에게만 맡긴 채 손 놓고 있어 감염 확산을 제때 막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관내 전 학생의 집단검사 등 결핵 박멸 긴급 대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인구 10만 명당 100명의 결핵환자가 발생하고 연 평균 4만 명이 발병, 3천 명 가량이 결핵으로 숨진다. 경제협력개발기구(OCED) 가입국 중 결핵 유병률·발생률 및 사망자 수치가 1위다. 결핵은 경제가 성장하면 전염원 차단 등의 관리 시스템이 잘 갖춰져 발병이 감소한다. 이런 이유로 결핵은 전형적인 ‘후진국형 질병’으로 불린다. 선진국 문턱에 와있다고 자처하는 나라에서 결핵이 집단 감염됐다는 사실부터가 창피한 일이다. 결핵은 감염 자체의 두려움뿐만 아니라 집단 감염국의 자존심 훼손과 관광객 유치 등에도 막대한 타격을 입힌다는 점에서도 조기 퇴치가 시급하다. 인천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