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일자리 창출정책 ‘속 빈 강정’

고용부 조사, 기업체 종사자 증가율 ‘전국 최하위권’ 불명예
입직률 0.3%p↓·이직률 0.2%p↑… ‘일자리 해법’ 대전환 필요

인천지역의 기업체 종사자 증가율이 전국 최하위권을 기록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는 사실상 일자리 만들기에 실패한 것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지역별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 인천지역 상용근로자와 임시·일용 근로자, 기타 종사자를 비롯한 총 근로자 수는 지난 2013년 10월 69만 7천여 명에서 지난해 10월 기준 69만 9천여 명으로 0.3%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부산(0.2%)에 이어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기업체 종사자 수는 같은 기간 중구는 6만 3천 명에서 6만 2천 명으로 줄었고 동구와 남구는 각각 2만 4천 명과 8만 2천 명에서 변함이 없었다. 또 연수구는 종사자 수가 5만 9천 명에서 6만 명으로 늘었고, 종사자 수가 가장 많은 남동구는 16만 4천 명에서 변함이 없었으며 부평구는 11만 7천 명에서 11만 8천 명으로 소폭 늘었다.

이밖에 계양구와 옹진군은 각각 5만 2천 명과 4천 명에서 종사자 수의 변화가 없었고 서구는 12만 1천 명에서 12만 2천 명으로, 강화군은 1만 1천 명에서 1만 2천 명으로 각각 늘었다.

특히 인천지역 기업들의 취업 등으로 인한 입직률은 지난 2013년 2.9%에서 지난해 2.6%로 0.3%p 줄어든데다, 이직률도 같은 기간 2.8%에서 3%로 0.2%p 늘었다. 인천지역으로 유입된 종사자 수는 같은 기간 줄었지만, 오히려 타지역 등으로 빠져나간 종사자 수는 늘었다는 의미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인천은 입직률과 이직률 등 표면적 의미만 놓고 분석해보면 결코 일자리가 늘었다고 볼 수 없다”면서도 “수년 전부터 지자체들이 나서서 일자리 창출에 나서고 있지만, 실제 기업에 (재)취업하는 비율 등은 효과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관계자는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최근 중부지방고용노동청 등 유관기관과 지역 내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협약을 맺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해당 사업을 통해 19억 원 규모의 국비를 지원받을 계획으로,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드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