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산자부·공항공사·기업·학계 참여 관련 정보수집·의견 공유 협력기구화 정부 엇박자 정책 관련산업 후퇴 인식 항공정비단지 청주行 제동 관심 집중
인천시가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항공산업 관련 전문가들이 포함된 위원회를 구성해 인천지역 항공정비특화단지 조성에 힘을 실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시는 28일 항공산업 육성에 필요한 정책 발굴과 자문역할을 수행할 인천시 항공정책위원회를 공식 출범하고 첫 번째 회의를 열었다.
배국환 경제부시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정책위는 이상준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항공과장과 이광수 인천국제공항공사 마케팅본부장, 김규형 에어인천 부사장 등 항공업계 관계자와 학계 전문가 15명으로 구성됐다.
시는 정책위를 인천지역 항공산업 육성에 필요한 정보수집과 업계 의견을 공유하는 협력기구로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항공정비사업(MRO) 공동추진 방안을 심층적으로 논의하길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정부가 지역균형발전을 이유로 주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책위가 정부에 직접적인 문제를 제기할 수 없는 단순 자문역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균형발전 논리를 앞세워 인천이 아닌 충북 청주공항에 항공정비특화단지 조성과 영종에 있는 항공안전기술원 이전을 검토하는 등 지역의 기대와 엇박자로 추진하는 행정에 강력한 제동을 걸어야 하는데 정책위 역할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시는 이날 첫 회의에서는 시의 항공정책 방향과 올해 주요 추진계획 및 추진 중인 용역을 설명했을 뿐 정부의 항공산업 정책에 어떻게 대응할지 전략적인 논의는 없었다.
최석정 시의원(새·서구 3)은 “현재 정부는 항공기 정비수요가 있고 관련부지 등 배후지원체계가 갖춰진 인천을 배제한 채 항공정책을 추진하고, 인천공항공사는 정부 눈치만 보는 상태”라며 “유정복 시장과 인천지역 국회의원이 주도하는 정책간담회를 만들어 더욱 공격적인 항공 관련 사업 육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정부 주도 정책으로 지역차원의 대응에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위원회의 항공분야 자문과 컨설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