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알뜰 구매’ 소비자들 눈치 작전 시작됐다!
지난 24일부터 휴대전화 개통 시 받을 수 있는 단말기 지원금 대신 선택할 수 있는 요금 할인 비율이 12%에서 20%로 인상됐다.
이에 따라 단말기 지원금과 요금 할인 가운데 어느 쪽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지를 놓고 소비자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요금 할인 비율 변경 후 시장 분위기에 대해 살펴봤다.
■ 금전적으로는 ‘요금할인’ 더 유리해요
요금할인율이 12%로 제한됐을 때는 단말기 지원금 대신에 요금할인을 택할 때 발생하는 실익이 상대적으로 적어 절대다수의 소비자가 단말기 지원금으로 쏠렸다.
그러나 요금할인 폭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현재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하고 있는 공시 지원금을 분석해보면 통신사나 요금제와 무관하게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쪽이 금전적으로는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 S6를 개통한다고 가정해보면 통신사 가운데 가장 많은 단말기 지원금을 지원하는 KT의 경우 고객층이 가장 넓은 순51요금제로 개통 시 단말기 지원금을 받을 때에는 17만원의 단말기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대리점이나 판매점이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추가할인(공시 단말기 지원금의 15% 이내)이 더해져 최대 19만5천500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요금할인 쪽을 선택하면 2년 약정으로 계산했을 때 24만4천800원(부가세 제외)의 요금 절감 효과가 발생, 단말기 지원금을 받을 때보다 약 5만원을 더 아낄 수 있다.
휴대전화 지원금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착한텔레콤은 “갤럭시S6 개통 시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쪽이 통신사나 요금제에 따라 최소 약 4만5천원에서 최대 약 12만원까지 이득”이라고 밝혔다.
■ 이통사, 요금할인율 인상 이후 파급효과 예의주시
그러나 요금 할인 비율 인상이 시장에 곧바로 반영될지는 미지수다. 불과 몇만 원 때문에 가입 시 한꺼번에 받을 수 있는 단말기 지원금을 포기하고, 장기간에 걸쳐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요금 할인을 선택할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특히 요금제가 낮아질수록 단말기 지원금과 요금할인의 격차가 줄어드는 만큼 요금 할인 선택에 매력을 느끼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 일선 이동통신사 대리점과 판매점에 따르면 요금할인이 20% 올랐음에도 소비자 대다수가 보조금을 선택하고 있다.
도내 한 대리점 관계자는 “요금할인율 인상을 묻는 소비자들은 늘었지만, 여전히 대부분이 지원금을 선택하고 있다”라며 “소비자들 대다수가 고가의 단말기 가격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동통신사들도 파급 효과를 예의주시하며 눈치작전을 벌이는 모습이다. 이동통신 회사들은 소비자들이 지난주 큰 폭으로 오른 지원금과 확대된 요금 할인 폭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얼마 전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의 지원금을 상한선에 육박하는 선까지 대폭 인상한 KT와 LG유플러스는 아직 지원금 조정방침을 공시하지 않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는 인상된 요금할인율에 소비자들이 실제로 어떻게 반응할지 지켜본 뒤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의 지원금을 조정 여부를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의 경우 이미 고액 요금제에 대해서는 지난주에 거의 상한선에 근접한 액수까지 지원금을 올려 인상 여력이 크지 않다”며 “중저가 요금에는 지원금 상한 여지가 남아있으나 이통사들이 선택요금 할인율 인상에 따른 소비자들의 반응과 파급 효과를 살핀 뒤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박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