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생산유발효과 지역총생산의 33.8% 역시! 지역경제 효자

인하대 산학협력단 분석 지난 2009년比 0.5%p↑

인천항이 인천지역 경제에 미치는 생산유발 효과가 인천 지역내총생산(GRDP)의 33.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지난 2월부터 ‘인천항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천항이 인천지역 경제에 미치는 생산유발 효과가 인천 지역내총생산(GRDP)의 33.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인하대 산학협력단이 지난 2009년 조사한 인천항의 지역경제 파급 효과 결과 33.3%보다 0.5%p 증가한 수치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항의 포괄적 항만물류산업의 생산유발 효과는 2007년 16조 2천370억 원(2009년 통계치)에서 2013년 21조 8천330억 원(2015년 통계치)으로 5조 6천460억 원의 증가세를 보이면서 인천 GRDP(64조 6천779억 원)의 33.8%를 차지했다.

특히 항만을 거점으로 승객과 화물의 운송 및 하역활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연안 및 내륙 수상운송, 외항운송, 터미널 운영, 하역, 항만시설 건설, 창고업 등이 주축인 항만 핵심산업 비중이 2007년 7.0%에서 2013년 8.5%로 1.5%p 상승했다고 밝혔다.

협력단 김태승 교수는 “인천항과 항만 관련산업의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포괄적으로 3분의 1 수준, 핵심적인 항만물류클러스터 산업군 영향력 5분의 1 수준으로 나타난 것은 인천항이 지역 경제활동에 매우 밀접하고 영향력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IPA 유창근 사장은 “지역경제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으로서 인천항과 타 산업부문의 시너지 확대 전략을 수립해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