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간 인구 2천938명 감소 교육특구 소하동 중심 전출 市 “전세값 부담에 대거 이주”
광명시가 최근 인구가 줄고 있어 비상이 걸렸다.
지난 2010년 양기대 시장 취임이후 교육도시를 표방하며 시의 위상이 높아졌지만 지방자치단체 경쟁력을 대변하는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16일 광명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1년 4월 인구 35만을 넘어선 이후 지난해 8월 35만명의 벽이 무너지고 갈수록 감소폭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3월 말 현재 인구는 34만7천388명으로 지난 2월보다 429명 감소했다. 지난해 8월 414명, 지난 1월 304명, 2월 552명을 포함해 8개월간 무려 2천938명이 줄어든 것이다.
인구 감소의 주된 원인은 신도시 성격의 소하동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소하동은 광명시가 교육특구로 지정하는 등 교육환경이 좋아지면서 도시 형성 초기에는 블랙홀처럼 주변 인구를 빨아들였지만 최근 무섭세 치솟는 전세난으로 인해 이 지역에 거주한 젊은 세대의 전세 입주자들이 높은 전세가를 견디지 못하고 대거 이주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실제 소하동 지역은 광명지역에서 대규모로 조성된 신규 아파트 단지로 24형의 경우 전세가가 3억을 웃도는가 하면 32형이 4억~5억을 차지할 정도로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다보니 젊은 세대입주자들이 계약기간이 만료되면서 타지역으로 이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매가나 전세값이 안정돼야 광명시의 전입·전출 불균형이 해소될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시 관계자는 “최근 전국적으로 불어닥치고 있는 높은 전세가격로 인해 젊은 세대 입주자들이 경제적인 부담을 때문에 대거 이주하는 것이 인구 감소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광명=김병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