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산업재해 등 대책 시급
인천시민 사망자 10명 중 1.25명은 손상(損傷)으로 인해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발전연구원이 인천의 안전도시 수준 현황 조사의 하나로 손상사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
인천지역의 손상사망률(인구 10만 명당 손상사망 비율)은 지난 2012년 기준 57.6명이다. 이는 전국 평균(69.2%)보다 낮지만, 7개 특·광역시 중 부산(59.4)과 광주(58.5)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다. 인천은 지난 2005년 56.8명에서 2009년 59.6명까지 올랐지만, 2010년 58.1명, 2011년 56.5로 점차 감소추세다.
이를 기준으로 총 사망자 중 손상사망률은 12.5%다. 손상사망의 원인으로는 자살이 31.2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운수사고(9.8명)와 낙상(3.7명), 익사(0.9명), 화상(0.8명) 등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과 비교했을 때 화상을 제외하고 대부분 높아 각종 안전사고로 인한 손상사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수사고와 낙상으로 인한 손상사망률 중 65세 이상 노인의 사망률이 80%를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수가 근로자 1만 명당 1.2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이 남동·주안 등 8개 산업단지가 밀집해 있어 타지역에 비해 제조업체 비중이 높고, 근로자 수도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인천은 전국 근로자 수의 4.69%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재해는 물론 각종 안전사고로 발생하는 손상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안전관리체계 구축 등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인발연의 한 관계자는 “상시로 지역 내 안전도를 진단하고 이를 위한 지역사회손상지표 등을 작성, 현황파악을 해야 한다”면서 “군·구, 민간단체, 전문기관 등과 함께 인천시민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