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지원 요구·인사청탁 시교육감 면담 요구까지 일선 공무원들 노이로제 거절하면 민원 ‘냉가슴’
“소통하는 교육청이요? 악성 민원에 죽을 맛입니다.”
인천시교육청 A 부서에서 일하는 공무원 B씨는 최근 공무 중 울리는 전화벨 소리에도 깜짝깜짝 놀라곤 한다. 지역의 한 업체로부터 급식 안전 관련 디스플레이 설치 사업을 지원해 달라는 전화 민원에 매일 같이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B씨는 해당 사업을 비싼 설치 단가 대비 효율성이 떨어지는 사업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시교육청이 ‘소통하는 교육청’을 내세우고 있어 거절 대신 “검토하겠다”는 답변만 반복할 뿐이다.
또 C 부서에서 일하는 공무원 D씨는 인사 발령을 앞두고 있을 때마다 곳곳에서 쏟아지는 청탁성 민원에 곤욕을 치르고 있다.
D씨는 “일부 민원인은 시교육청이 내세운 ‘소통하는 교육청’과 ‘열린 교육감실’의 의미를 ‘모든 민원을 들어주는 교육청’으로 착각하고 있다”며 “이중 교육감을 만나게 해달라는 민원인도 있어 곤란할 때가 많다”고 말했다.
이청연 교육감 취임 이후 시교육청이 교육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며 ‘소통하는 교육청’과 ‘열린 교육감실’을 내세우고 있지만, 정작 이를 노린 각종 악성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이 교육감의 직무를 보좌하는 비서실만 하더라도 매주 5~10건에 달하는 청탁성 민원 등 악성 민원에 시달리고 있으며, 시교육청이 소통을 강조하고 나선 만큼 민원 처리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공무원의 고충은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와 관련 시교육청 관계자는 “악성 민원이라도 무시하면 국민신문고 등으로 민원이 이어질 수 있어 처리에 신중해야 하고, 그만큼 업무에 지장을 줄 수밖에 없다”며 “소통의 의미를 잘못 해석해 무리한 청탁성 민원을 하지 않기를 시민에게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