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루원시티’사업, 이번엔 제대로 추진하라

장기간 표류 중인 인천시의 루원시티(LU1 CITY) 개발 사업이 재추진된다. 인천시는 지난달 30일 공동 사업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루원시티 정상화 추진을 위한 합의서’를 체결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지난 2010년 이후 사업이 중단된 지 5년 만이다. 인천시와 LH는 올해 각종 인허가 절차를 거쳐 내년 9월 단지조성공사에 착수, 2018년 12월 개발 사업을 끝낼 계획이다.

루원시티 개발계획은 인천 서구 가정오거리 일대 97만 2천㎡ 부지에 지상 77층 쌍둥이 빌딩을 비롯해 아파트 1만 1천300가구를 짓는 등 입체복합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난 2006년 사업지구로 지정돼 당초 계획으론 지난 2013년 말 이미 완공됐어야 했다. 애초 청라국제도시와 인천지하철 2호선, 인천공항고속도로 등이 가까워 개발 잠재력이 풍부한 것으로 평가됐었다. 그러나 건물·토지 보상만 했을 뿐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정상화 추진 합의서엔 루원시티 추진의 가장 큰 걸림돌인 사업성 확보책으로 루원시티 일원을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하고 주거 공간 축소, 일반상업 및 중심상업지구 확대 방안 등이 들어 있다. 또 사업완료 이후 1년 이내에 사업 손익을 정산하고 인천시는 현금 대신 송도지구 공동주택 용지 등 토지로 대체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합의에도 불구하고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그동안 사업의 결정적인 좌초 원인이 됐던 문제점들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우선 개발지 조성원가가 턱없이 높다. 3.3㎡당 2천120만원으로 송도(194만원), 영종(365만원), 청라(407만원)보다 5~10배가량 비싸 사업의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다.

LH가 지금까지 이 사업에 쓴 돈은 토지 보상비 등 1조 7천억 원으로 하루 이자만 2억 4천만 원에 달한다. 사업을 계속하려면 또 1조 2천억 원을 투입해야 한다. LH는 이대로 사업을 추진하면 1조 5천억 원의 손실을 예상하고 있다. 사업 정상화의 길이 첩첩산중이다.

그런데도 인천시가 느닷없이 사업 재추진을 발표하자 지역민들은 이를 반기면서도 한편으론 의아해하고 있다. 한 달도 안 남은 4·29 인천 서구·강화을 국회의원 재선거를 염두에 두고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루원시티 개발사업 재추진을 서둘러 발표한 것 아니냐는 시각이다. 인천시는 일부 지역민들의 이 같은 인식이 오해였음을 증명하기 위해서라도 발표한 계획대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