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초 취학 무산 난민센터 11명, 한누리학교 취학이 최선책” 시교육청, 재원 등 논의 법무·교육부·난민센터 ‘4자회담’ 제안
인천시교육청이 출입국외국인지원센터(난민센터) 난민신청자의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 법무부와 교육부, 난민센터 등이 참여하는 4자 회담을 제안하고 나섰다.·
31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영종초등학교 취학이 취소된 난민센터 내 학년기 난민신청자 11명의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 법무부·교육부·난민센터 등 관계기관이 참석하는 4자 회담을 추진, 이번 주 중 관련 공문을 각 기관에 전달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4자 회담에서 학년기 난민신청자의 교육문제 해결방안으로 인천 한누리학교 취학을 추진키로 했다. 한누리학교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서툰 중도입국 학생 등을 6개월 이상 위탁 교육하는 공립형 다문화 대안학교로, 이중언어 강사 등 학년기 난민신청자를 교육할 수 있는 충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앞서 시교육청은 영종초 취학이 무산되자 지난 20일 난민센터와 협의를 진행하면서 한누리학교로 취학하는 대안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한누리학교로 취학시키는 대안 역시 통학거리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어 관계기관의 협조가 필요하다.
한누리학교에 있는 기숙사는 내부 규정상 부모의 보살핌이 필요한 초교 1~3학년생을 수용하지 않고 있으며, 통학을 하더라도 난민센터와 30㎞(차량 이동시간 40분)가량 떨어진 거리에 있어 반드시 통학버스가 필요하다.
또 통학하는 과정에서 학년기 난민신청자의 안전을 책임질 이중언어 강사 등의 배치도 고려해야 할 사안이다.
이 같은 사안을 해결하려면 관계기관이 함께 나서 관련 규정과 예산 문제 등을 풀어야 한다. 특히 시교육청은 4자 회담을 통해 한누리학교 취학 방안 외에 다른 해결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법무부를 비롯한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문제의 조기 해결 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영종지역 주민의 반발이 거센 상황에서 영종초 취학을 다시 추진하기는 무리”라며 “관련 재원 등을 충분히 고려했을 때 학년기 난민신청자를 한누리학교에 취학시키는 방안이 현 상황에서 최선책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통학버스를 운영할 경우 이에 대한 경비를 어느 기관이 부담해야 할지 등 논의해야 할 부분이 남아 있어 시교육청이 모든 것을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다”며 “이른 시일 내 관계기관과 4자 회담 등을 열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