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 “구매·잠재력 거대시장 물꼬”… 농업계 “수입산 식탁 점령”

한·뉴질랜드 FTA 정식 서명… 경제계·농업계 ‘희비’

한ㆍ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이 23일 정식 서명이 이뤄진 가운데 경제계는 잠재력 있는 뉴질랜드 시장을 확보할 수 있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FTA 활용 방안 마련에 분주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농업계에서는 농민들의 생계를 위협한다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무역협회,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 4단체를 비롯해 유관단체ㆍ기관 42개가 참여해 있는 FTA 민간대책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발표하고 “FTA를 통해 양국 간 교역 확대와 경제협력 활성화가 기대된다”며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대책위는 “뉴질랜드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4만 달러가 넘는 높은 구매력을 가지고 있다”면서 “반면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우리의 교역 확대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FTA가 발효되면 뉴질랜드와 이미 FTA를 발효 중인 중국, 아세안 국가와 동일한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어 우리 기업 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대책위는 “정부와 국회는 한ㆍ뉴질랜드 FTA가 이른 시일 내 발효될 수 있도록 힘써달라”며 조속한 인준을 당부했다.

이러한 기대감에 발맞춰 FTA 활용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한국무역협회는 이날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과 공동으로 양국 기업인이 참여하는 FTA 세미나와 비즈니스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했다.

한국 기업 53개사와 뉴질랜드 기업 31개사가 참여한 이번 행사에서 양국 기업들은 상호 중요한 교역 파트너임을 확인하고 투자ㆍ관광ㆍ교육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에 반해 농업계는 한ㆍ뉴질랜드 FTA로 쇠고기 및 수입과일의 관세가 철폐돼 국내시장이 수입농산물로 점령될 수밖에 없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이날 전국농민회총연맹은 성명서를 통해 “18~40%의 뉴질랜드 쇠고기 관세가 15년에 걸쳐 완전히 철폐되고 키위ㆍ멜론 등 수입과일의 관세가 허물어지면서 이미 포화상태인 국내시장은 수입농산물로 인해 몸살을 앓을 수 밖에 없다”며 “박근혜 정부는 지속적인 FTA추진과 함께 한국농업을 계속 포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정부가 남발한 FTA 추진은 한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를 위한 전초 작업에 지나지 않다”며 “각종 개방농정을 자행한다면 결국 투쟁 전선으로 귀결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국낙농육우협회도 “FTA로 인해 고삐 풀린 수입유제품이 국내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상황에서 낙농선진국인 뉴질랜드의 대 한국 유제품 수출 공세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학교우유급식 제도화, 기업체 단체급식 실시, 국산우유 사용 확대 지원 등 국산 우유ㆍ유제품 소비 확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한ㆍ뉴질랜드 FTA는 조만간 국회 비준동의 절차를 거친 뒤 정식으로 발효될 예정이다.

이관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