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5곳 중 17곳서 ‘부적합’ 1곳당 300만원 관리비 지출도 건강위협에 예산낭비 논란까지
지난 한 해 동안 고양시가 관리하는 약수터 25곳 중 17곳에서 인체에 해를 주는 대장균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시가 약수터 1곳당 300만원을 유지관리에 사용하고 있는데도 대장균이 수시로 나와 주민들의 건강위협은 물론이고 예산 낭비 논란도 일고 있다.
16일 고양시에 따르면 시는 약수터 25곳에 대해 매달 수질 검사를 시행해 ‘적합’ 또는 ‘부적합’ 판정을 내려 결과를 시민에게 알리고 있다.
약수터 수질 검사는 먹는 물 기준에 맞춰 총 45개 항목을 조사하며 부적합 판정이 나올 경우 사람이 마시지 못하는 물로 간주한다. 부적합 판정이 나온 약수터는 대부분 총대장균과 분원성대장균, 일반세균 등이 검출된 곳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약수터 25곳 중 무려 17곳이 한달 이상 부적합이란 주홍글씨가 쓰여져 시민들이 이용할 수 없었다.
관산동의 용천 약수터는 지난해 2월과 3월을 제외한 10개월에 걸쳐 부적합 판정을 받아 약수터 기능을 사실상 하지 못했다. 고양동 중남미문화원 인근의 고양18통 약수터는 8개월, 대자동의 골안 약수터는 7개월 동안 ‘부적합’이란 푯말이 부착됐다.
‘서울~금산간 고속도로’ 때문에 부각된 국사봉 약수터를 비롯해 넘마을, 성라공원2, 수연 약수터 등은 6개월간 총대장균과 일반세균이 득실거렸다. 이밖에도 꽃마을·대궐고개·범룡골·유곽골(화전) 약수터(5개월), 능안골(3개월), 명봉(2개월), 덕산·대동사·성불사·열병합(1개월) 등이 상당기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시는 약수터 수질 개선을 위해 예산을 들여 소독 등 청소를 하고 있지만, 대장균이 검출된 곳의 수질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수개월 이상 약수터 기능을 못하는 곳에 굳이 예산을 들여 유지할 필요성이 있느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시 상수도사업소 관계자는 “부적합 판정이 나오면 곧바로 청소를 실시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오염 물질을 찾기가 쉽지 않아 계속해서 검출되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고양=유제원 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