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산 민자고속道 토론회 ‘고양 民心’ 양분… 찬반여론 팽팽
고양시가 민간투자사업으로 서울-문산 고속도로 건설을 추진중인 가운데, 주민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토론회가 개최돼 주민 간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16일 오후 덕양구청에서 개최된 토론회에서 홍중희 덕양발전위원회 준비위원장은 “실제 현장을 가보면 국사봉 훼손은 반대쪽에서 주장하는 내용과 다른 점이 많다”며 “그동안 국책 사업 지연으로 인해 사패산 터널 5천500억원, 계룡산 관통 도로 685억원 등의 손해를 본 만큼 개인적,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국가 발전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면 좋겠다”고 찬성 의견을 피력했다.
정동채 미래연대 사무국장도 “최초 사업이 발표될 당시 사업비는 1조4천억원이었는데 주민 의견 등을 반영하기 위해 현재는 2조3천억원으로 증가했다”며 “증가한 사업비는 도로를 이용하는 주민들의 몫이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착공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반면 반대 토론자로 나선 민경선 경기도의원(새정치연합)은 “이 고속도로는 광명-서울 고속도로와 연결되는데, 광명-서울 구간은 아직 협의조차 안 됐는데 이곳만 진행하는 것은 이치에 안맞다”며 “광명-서울 구간은 녹지축 훼손을 막기 위해 지하화 구간이 많은데 비해 서울-문산은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2일 경기도가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 산림조사서 미제출을 이유로 보완요구를 하는 등 아직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정용채 원흥도래울마을 입주자 대표는 “이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자유로 정체 등으로 그동안 주민들이 누렸던 삶의 질이 많이 훼손된다”며 “현 설계대로라면 원흥도래울마을 주민들은 반대 입장이다”고 밝혔다.
시는 이날 토론회에서 제기된 찬성과 반대 의견, 시가 사업시행자에게 요구했으나 미반영된 두 가지 사항의 추진 등을 담은 내용을 오는 23일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 제출할 예정이다.
두 가지 사안은 국사봉 훼손과 사리현IC 연결도로 문제인데 국사봉의 경우 환경부는 지하화를 요구했지만, 사업시행자는 우회도로를 주장하고 있다. 사리현 IC 연결도로는 사업시행자가 공사비는 부담하겠다고 밝혔지만 토지 보상비 180억원을 고양시에 떠넘겨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고양=유제원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