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체코는 26일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는데 합의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보후슬라프 소보트카 체코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정치·경제·국방 등 제반분야에서의 실질적 협력을 강화하고자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공동선언문에는 정치·안보협력 분야를 비롯해 경제, 문화·교육, 한반도 및 동북아 분야 등에서 구체적인 협력방안 등이 망라됐고 양국은 외교부·교통부·국방부 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외교부 간 MOU는 차관 또는 차관보급을 수석대표로 한 정례협의회를 개최하는 것을 골자로, 공공외교 및 개발·안보·환경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해 긴밀한 협의를 한다는 내용이다.
국방협력 MOU는 국방·안보정책, 평화지원·인도적 작전, 방산, 국방연구, 군 훈련·교육, 화생방·핵 방어, 군비통제 등에서 협력하고 군사장비에 대한 정보 교류 확대로 양국 간 국방 및 방산교류 협력 확대 기반을 구축토록 했다.
철도협력 MOU는 철도정책, 건설·운영, 철도기술 개발 협력, 정보 및 자료 교환, 고속철도 협력 등이 핵심 내용으로, 우리 기업이 선진 철도시장인 유럽에 많이 진출하는 데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특히 양 정상은 에너지 분야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난해 프라하에서 출범한 ‘한·체코 원자력포럼’과 ‘원전협력운영위원회’ 등 협력채널을 공고히 함으로써 원자력분야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양국은 또 수학·과학분야 등 과학기술협력 강화가 목적인 제4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오는 5월 프라하에서 개최키로 하는 한편 방한을 계기로 체코 경제사절단과 우리 참여기업 간 교역·투자 확대에 공동 노력키로 합의했다.
양 정상은 북핵문제와 관련, 북한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북한의 검증 가능한 비핵화와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 촉진을 위한 6자회담 등 유의미한 협상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박 대통령의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고, 북한의 인권과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해 함께 노력키로 했다.
박 대통령은 정상회담 직후 공동기자회견에서 “체코는 개혁과 개방이 경제재건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유일한 방안임을 직접 체험한 국가”라며 “북한이 올바른 방향으로 변화해 나가도록 하는 데 분명한 메시지를 줄 것”이라고 했다.
이에 소보트카 총리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대한민국은 평화적인 이니셔티브에 있어서는 저의 지원과 성원을 확신할 수 있다”고 화답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