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 언제까지 저질 수돗물 공급할 텐가

인천시의 수돗물 수질관리가 불안하다. 시민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해야할 인천지역의 모든 정수장(부평·공촌·수산·남동)에 아직도 고도정수처리시설이 없어 저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니 매우 충격적이다.

국제도시의 위상이 말이 아니다.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김해 등 상당수 지자체들이 이미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인천시는 예산 타령만 하고 정수처리시설 개선 사업을 뒷전으로 미뤄놓고 있다.

이 때문에 암모니아성 질소와 음이온계면활성제, 냄새나는 물질과 소독부산물 등 각종 미량 유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특히 팔당과 풍납 상수원 지역에서 유입되는 유해 화학물질과 기름 등 오염 물질을 완전히 걸러내지 못해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수돗물 맛이 이상하고 역한 냄새가 난다는 민원이 한 해 동안 2천여 건이나 폭주한 적도 있다. 그래도 당국은 수돗물을 마셔도 괜찮다고 배짱 좋게 외쳐왔으니 어이가 없다. 오히려 이런 외침이 수돗물에 대한 불신감을 더 심화시키고 있다. 시민들이 매일 마시는 수돗물에 대해 극도의 불신감을 갖고 있는 건 여간 심각한 일이 아니다.

그런데도 인천시 당국은 굼뜨기만 하다. 상수도사업본부는 오는 2018년까지 1천688억원(국비 1천169억원·시비 519억원)을 들여 모든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설치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시 당국이 관련 예산을 찔끔찔끔 배분하고 있어 계획대로 시행될지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태다.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3년 동안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 사업에 배정된 예산은 고작 321억원(국비 132억원)으로 연평균 100억원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특히 올핸 상수도사업본부가 139억원을 신청했지만 시는 44억원만 배정했다. 2018년까지 사업을 끝내려면 매년 300~400억원이 투입돼야 하는데 이런 추세라면 시설개선 사업이 언제 끝날지 모른다.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 사업의 국비보조금은 지역발전특별회계 계정에 포함돼 있는데, 정부가 타 사업비와 묶어 인천시에 교부하기 때문에 이를 어느 부문에 중점 배분할지는 시의 결정에 달렸다. 그럼에도 정수처리 사업 투자가 이렇게 인색하니 시 당국의 수질개선 의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제 생각을 고쳐 잡아야 한다.

시민들의 건강과 직결된 수돗물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공급하는 일보다 더 중요한 건 없다. 2018년까지의 수질개선 사업 계획을 대폭 앞당겨 수정하고, 이 사업이 최우선 시책이 되도록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