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강국 대한민국… ‘IoT’ 전략은 미흡

주요국 산업반영 결과

한국의 사물인터넷 구현 순위가 주요국 중 10위권 안에도 들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2일 한국정보화진흥원에 따르면 컨설팅 전문기업 액센츄어(Accenture)는 ‘산업 IoT로 승리하는 법’(Winning with the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을 최근 발간했다.

보고서는 IoT 기술이 2030년 전세계 총 GDP 중 14조2천억달러 만큼 기여할 것으로 추정했다.

구체적으로 2030년 주요 20개국의 GDP는 IoT 덕분으로 1% 늘어나고 관련 투자가 50% 이상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같은 장밋빛 전망에도 불구하고 IoT 시대에 대한 준비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액센츄어가 1천400여개의 글로벌 기업들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73%는 IoT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충분한 투자로 포괄적인 IoT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곳은 단 7%에 그쳤다.

한국은 IoT를 산업 제반 요인에 반영시킨 정도를 55가지 지표를 통해 측정한 결과, 한국은 52.2점으로 주요 주요 20개국 중 12위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이 64점으로 가장 높았고 스위스(63.9점), 핀란드(63.2점), 스웨덴(62.4점), 노르웨이(61.8점) 등 북유럽 국가들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 네덜란드(59점), 덴마크(58.8점), 영국(55점), 일본(54.4점), 독일(54.3점) 등이 10위권에 들었고, 호주(54.1점) 역시 한국에 앞선 것으로 평가됐다.

55가지 지표에는 각국의 네트워크 수준, 금융 및 정부정책, 연구·개발(R&D), 테크놀로지 업체 및 기술 수준 등이 포함됐다.

정보화진흥원 관계자는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부를 구심점으로 실행계획 공유와 확산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