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교통행정이 극히 단세포적이다. 시민의 편의보다는 버스업체의 수익성만을 우선해 인천과 서울을 잇는 광역버스 노선을 일방적으로 폐지하거나 운행 횟수를 줄여 불편을 느낀 시민들이 분개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해 8월 청라국제도시와 서울 강남을 운행하던 9510번 노선을 폐지한 데 이어 지난 1일엔 서구 석남동과 서울 강남을 운행하던 9800번 광역버스 노선을 폐지했다. 이에 따라 19개 노선(306대)이 17개 노선(249대)으로 줄었다.
뿐만 아니라 인천시는 삼화고속이 운행하는 1000번 등 5개 노선과 인강여객이 운행하는 9100번 등 4개 노선의 주말 과 공휴일 운행 대수 및 횟수를 30%가량 줄여 감축 운행토록 했다. 시의 이 같은 조치는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선 개통으로 서구 및 부평지역 주민의 서울 접근성이 향상돼 승객이 줄어 버스업체가 적자를 본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시 당국은 광역버스 노선을 폐지만 했지 이에 따른 대체 교통수단을 마련하지 않아 7호선 연장선을 이용할 수 없는 지역민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니다. 9800번 버스를 이용하던 부평지역민들은 지하철 7호선을 이용할 수 있지만, 서구 석남동 주민들은 버스 노선 폐지에 따라 시내버스를 수차례 환승하거나 어쩔 수 없이 승용차를 이용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 같은 시민 불편은 주말 운행 횟수가 줄어든 노선의 지역도 마찬가지다. 주말에 서울 나들이 가는 시민들은 정류장에서 20~30분씩 기다리다 환승 할인 시간을 넘겨 새로 요금을 내는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시 당국은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시민 불편을 철저히 외면한 행정 편의적 독단이다. 관료주의적 전횡이다.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하던 버스 노선을 시 당국이 이처럼 폐지·감축한 건 시민보다 오로지 버스업체의 편익만을 우선시한 처사다. 시민 민생은 아예 안중에도 없는 편파적 행태다. 시 당국은 광역버스 노선 폐지 이유로 수익성 저하를 들고 있다. “1대 운행하는 데 20~30만원 손해를 본다는데 노선 폐지나 감축 운행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조치의 불가피성을 강변했다.
하지만 당치 않은 소리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인천시가 2009년 도입한 것이 버스준공영제다. 대중교통의 공공성 때문에 적자 업체에 재정지원을 함으로써 적자 노선의 운행 기피를 막고 있는 거다. 인천시는 이 점을 깊이 인식하고 주민 편익 위주로 폐지된 노선에 대한 대책을 하루속히 세워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