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근 호매실지구서 반대운동 정치논리 휘말릴까 노심초사
수원시가 화성·부천·안산·시흥·광명 등 경기지역 5개 자치단체가 공동참여해 화성에 건립하는 ‘공동형종합장사시설’ 주민반대 문제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용인시와 불과 180m 떨어진 ‘수원연화장’을 운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동장사시설 설치를 무작정 반대했다간 ‘지나친 지역 이기주의’에 의한 지자체간 갈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민반대의 중심에 서 있는 새누리당 정미경 국회의원이 시의 입장 표명 등을 주문하는 등 시 정책이 자칫 정치논리에 휘말리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20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화성시는 매송면 숙곡1리 산12-5 일대 36만여㎡에 1천212억여원을 들여 화장로(13기)와 봉안시설(2만6천400여기) 등을 갖춘 종합장사시설을 내년 착공할 예정이다.
하지만 정미경 의원을 비롯한 호매실지구 일부 주민들은 화장장에서 나오는 유해물질로 건립예정지에서 2km 떨어진 호매실지구 주민 2만4천여명의 건강 및 환경피해가 우려된다며 반대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어 호매실 주민들이 만든 인터넷카페(호매실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은 지난 8일 오후 금호동 주민센터에서 시민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미경 국회의원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정 의원은 “종합화장시설설치는 타 지자체 업무여서 호매실 주민들의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고, 수원연화장을 운영하는 상황에서 무조건 반대할 수 없는 것이 수원시의 입장”이라며 “아파트 및 지역주민이 연합해 시장면담을 요청해야 한다. 단결하면 막을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시는 지난 9일 화성시에 집단민원 협조공문 발송을 통해 시설 주변 5km 내 거주주민 주민설명회 개최, 화장시설 배출 유해물질 안전성 확보 등을 요구했다.
시 관계자는 “화성장사시설 설치와 관련 수원시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다만 시가 마치 주민들의 요구를 외면하고 있는 듯한 발언 등 시장과 다른 정당의 정치적 이용 등이 우려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날 간담회에서 정 의원은 지난 2012년 수원시에서 국토부에 구운역을 포함해 타당성 조사를 요청, 이것이 신분당선 연장선(정자-수원)이 재정사업에서 민자사업으로 바뀌게 된 주요 요인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정 의원은 당시 주민들이 대책을 수립해 투쟁했으면 재정사업으로 추진돼 2015년 착공이 가능했을지도 모르지만 현재로써는 조기착공은 불가능하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시는 민자사업으로 변경사유가 시의 요청이 아닌 정부의 재정사정에 따른 것이라는 입장이다.
시는 또 해당 사업의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재검토 용역이 지난 2012년 3월 시작해 2년 소요됐고 이후 기본 및 실시설계(1-2년 소요 예상)를 해야 하므로 재정사업이었더라도 2015년 착공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정미경 의원 관계자는 “화장장 문제는 지역구 시민들의 반발이 심한 상황에서 수원시의 입장을 듣고자 하는 차원이었고 신분당선 문제는 정 의원이 국회의원 신분이 아니던 상황에서 돌연 민자사업을 변경, 아쉽다는 표현이었다”면서 “수원시민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측면에서 시와 갈등을 빚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수원비행장 이전 관련 시민협의체 구성과 관련, 시와 정 의원간 불협화음으로 정 의원측이 지난해 11월 시민추진위원회 발대식을 개최한데 이어 시는 오는 3월 시민협의체 발대식을 가질 예정이다.
박수철기자 scp@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