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장원 포천시장, ‘9,000만원’ 설명하라

서장원 포천시장(56)과 관련된 추문이 점입가경이다. 애초 이 사건은 서 시장에 대한 단순 협박에서 시작됐다. 박모씨(52ㆍ여)가 ‘9월 28일 포천시장 집무실에서 서 시장에게 성폭행을 당했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박씨는 이런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지인들에게 보냈고 서 시장이 박씨를 고소했다. 경찰도 박씨의 주장이 허위라는 결론을 내려 정보통신망법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박씨를 구속했다.

그런데 이후 상황이 이상하게 흐르고 있다. 구속 하루 만에 박씨가 풀려났다. 박씨를 고소했던 서 시장이 “박씨가 반성하고 있다”며 고소를 취하한 것이다. 지역을 시끄럽게 했던 현직 시장의 성 추문은 이렇게 마무리되는 듯싶었다. 그때 경찰이 수사의 방향을 돌려 잡았다. 성추문이 사실일 가능성과 입막음을 위한 금전이 오갔을 가능성에 대해 수사를 시작한 것이다. 박씨 남편의 진술 때문이었다.

결국, 박씨도 “서 시장 측으로부터 합의금 9,000만원을 받았다”고 진술했다. 돈을 받은 정황도 ‘세 차례에 걸쳐 4,000만원과 5,000만원을 받았다’는 식으로 구체적이다. 경찰은 전달자 이모씨와 비서실장 김모씨를 구속했다. ‘(중개인이) 본격적으로 비서실장한테 전화를 하고 합의를 해서 고소하기 전에 합의금을 받기로 했다’는 것이 경찰의 설명이다. 성ㆍ금전 추문 모두를 사실로 보는 듯하다.

있을 수 없는 일이 지금 포천에서 벌어지고 있다. 16만7천 시민을 대표하는 현직 시장이다. 포천에서 초ㆍ중ㆍ고등학교를 졸업한 토박이다. 1995년 포천군의원을 시작으로 지역에 봉사해온 정치인이다. 포천 시민들은 2008년 보궐선거 이후 내리 세 번 그를 선택했다. 그런 서 시장이 ‘시장 집무실에서 성추행’ ‘입막음용 돈 제공’ 등 3류 도색잡지에나 나올법한 추문에 휩싸였다.

우리는 이번 사건이 단순한 해프닝이길 바랐다. 하지만, 상황이 그런 기대와 정반대로 가고 있다. 단순한 추문을 넘어 부정한 금품 제공 논란으로 번지고 있고, 피해자 매수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여기에 주변 인물들까지 줄줄이 감옥으로 가고 있다.

실체적 진실 외에 길이 없어 보인다. 경찰은 서 시장에 대한 수사를 서둘러야 한다. 사실이면 사법처리해야 하고 사실이 아니면 아니라고 발표해야 한다. 서 시장도 스스로의 주장을 좀 더 논리적으로 풀어야 한다. ‘성추행도 아니고 금품 제공도 아니다’라는 설명만으론 부족하다. 해명의 핵심이 빠졌다. ‘9,000만원’이라는 거액을 설명해야 한다. 이 돈이 왜 오갔는지, 출처는 어디인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9,000만원’은 결코 적은 돈이 아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